[朴 대통령, 유엔 외교] 北도발 외교적 저지… ‘위안부’는 국제적 이슈화

입력 2015-09-30 02:57

박근혜 대통령은 3박4일간의 유엔 정상외교를 통해 한반도 평화통일 공감대 확산, 북한 추가도발 억지, 새마을운동의 지구촌 확산 등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유엔 창설 70주년을 맞아 열린 올해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선 한반도 통일비전을 제안하는 등 우리 정부의 평화통일 노력을 소개하고 국제사회가 이를 지지해줄 것을 강력히 호소했다.

◇평화통일 지지 호소, 추가 도발 저지 외교=박 대통령은 우선 28일(현지시간) 유엔총회 연설을 통해 “마지막 냉전의 잔재인 한반도 분단을 끝내는 것은 곧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것”이라며 “통일 한반도는 지구촌 평화의 상징”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통일된 한반도의 미래상을 ‘핵무기가 없고 인권이 보장되는 번영된 민주국가’라고 제시했다.

북한에 대해선 4차 핵실험 또는 장거리 로켓 발사 시도 등을 비판하며 핵무기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개혁·개방을 통한 경제발전의 길로 나설 것을 촉구했다. 160여개국 정상을 상대로 북한 도발이 세계평화를 위협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를 사전에 억지하는 데 나선 것이다.

다만 박 대통령은 연설에서 ‘단호하고 철저한 응징’ 또는 ‘강력한 제재’ 등의 대북 경고는 자제했다. 북한을 자극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북한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인권 문제에 대해선 지난해에 이어 다시 인권 개선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2년 연속 우회 압박=박 대통령은 지난해 역대 대통령 중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언급한 데 이어 올해도 이 문제를 거론하며 이슈화에 나섰다. 박 대통령은 “금년은 특히 ‘여성과 평화, 안보를 위한 안보리 결의 1325호’가 채택된 지 15년을 맞는 해”라며 “국제사회가 ‘분쟁 속의 여성 성폭력(sexual violence in conflict)’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일본군 위안부’ 단어를 명시적으로 쓰진 않았지만 “2차대전 당시 혹독한 여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라고 표현함으로써 일본 정부를 압박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과거를 인지하지 못하고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길은 없다”며 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 없이는 경색된 한·일 관계의 정상화가 어렵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PKO 파견, 개도국 소녀지원 사업도 천명=박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국제사회 문제 기여 방안도 적극 소개했다. 총회 연설에선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을 언급하면서 “조만간 유엔과의 협의를 거쳐 평화유지군(PKO)을 추가 파견할 계획”이라고 소개했다. 또 개발도상국 감염병 대응능력 강화 지원에 1억 달러 투입, 개도국 소녀 지원에 5년간 2억 달러 지원 계획 등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총회에서 미국 중국 러시아 정상 등에 이어 7번째로 나서 한국어로 23분간 연설했다. 연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단어는 ‘평화(30차례)’였고 이어 ‘인권(17차례)’ ‘개발(16)’ ‘북한(14)’ ‘안보(13)’ ‘한반도(8)’ ‘통일(5)’ 순이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