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한국은 핵무기 없는 민주국가”… 朴 대통령, 유엔총회 기조연설

입력 2015-09-30 02:48
박근혜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70차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박 대통령은 연설에서 한반도 평화통일, 북한 개혁·개방에 대한 적극 지원 등을 역설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평화통일을 이룬 한반도는 핵무기가 없고 인권이 보장되는 번영된 민주국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70년 전 유엔 창설자들이 꿈꿨던 평화와 인간 존엄의 이상이 한반도에서 통일로 완성될 수 있도록 유엔과 모든 평화 애호국들이 함께 노력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저는 유엔이 1948년 대한민국 탄생을 축복해줬던 것처럼 통일된 한반도를 전 세계가 축하해 주는 날이 하루속히 오기를 간절히 꿈꾸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구상에 남은 마지막 냉전의 잔재인 한반도 분단 70년의 역사를 끝내는 것은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일”이라며 “통일 한반도는 지구촌 평화의 상징이자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동북아는 물론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박 대통령 언급은 한반도의 평화통일이 북한 및 북핵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책이자 전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방안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특히 연설에서 ‘핵무기 없는 번영된 민주국가’ ‘지구촌의 새로운 성장엔진’ 등을 한반도 통일비전으로 제시하며 평화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적극 호소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북한은 추가 도발보다 개혁과 개방으로 주민들이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핵 개발 등 도발 강행은 세계와 유엔이 추구하는 인류평화의 가치를 훼손하는 길”이라고 말했다. 북한에 대해 4차 핵실험 또는 장거리 로켓 발사 등의 도발 시도를 즉각 중단하고 남북 협력 흐름을 살려 개혁·개방의 길로 나설 것을 거듭 촉구한 것이다.

또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인도주의 문제가 정치·군사적 이유로 더 이상 외면돼선 안 될 것”이라며 이산가족 상봉 행사의 이행도 북한에 재차 촉구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선 “국제사회가 분쟁속의 여성 성폭력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분들이 살아계실 때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아울러 창설 70년을 맞은 유엔 등 국제사회 기여 방안과 관련, 유엔과의 협의를 거친 평화유지군(PKO) 추가 파견, 아프리카연합과의 실질적 파트너십 강화, 시리아 난민 관련국에 대한 인도적 지원 강화 계획 등을 밝혔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 25일부터 뉴욕에서 유엔개발정상회의 기조연설, 기후변화 주요국 정상 오찬, 새마을운동 고위급 특별행사 등 일정을 소화했다. 박 대통령은 30일 오전 귀국한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