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으로 활동한 이동학(33) 다준다청년정치연구소장은 25일 혁신위원회의 문재인 대표 부산 출마 제안과 관련, “혁신위에서 최종적으로 부산 출마를 권유했지만 당의 전략적 판단에 따라 수도권에 출마해도 상관없다고 본다”며 “다만 새누리당의 텃밭인 강남과 같은 험지에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소장은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안철수 의원이 혁신위의 험지 출마 요구를 거부한 데 대해 “지역구민을 위한다고 말한다면 구의원을 해야 한다”며 “부산이 아니라면 문 대표와 함께 강남에 출마하는 것도 괜찮다”고 했다. 그는 박지원 의원이 ‘공천 배제’ 대상으로 포함된 것에 반발하는 데 대해서도 “국민의 마음을 얻는 선거라는 시각으로 보면 불출마가 맞는다”고 말했다.
-문 대표가 혁신위 제안에 대해 여전히 심사숙고 중이다.
“문 대표가 수도권 경합지역에서의 선거유세 등을 이유로 심사숙고 중이라면 수도권에 출마하는 것도 긍정적이다. 지금으로선 부산이 적당하다고 보지만 선거가 다가올수록 전략적 포인트가 달라질 수도 있다. 만일 수도권으로 오게 된다면 반드시 이겨야 하는 후보와 붙거나 그런 지역에 가야 한다. 새누리당의 텃밭인 강남 같은 곳에 파격적으로 나가야 한다. 우리의 정책 어젠다 미래비전을 두고 강하게 붙어야 한다. 그렇게만 된다면 수도권 등 어느 곳이든 상관없다는 거다. 우선 불출마 철회만 하시면 된다. 그것이 혁신위 제안의 기본 취지다.”
-안 의원이 혁신위가 제안한 ‘살신성인’ ‘부산출마론’을 거부했는데.
“혁신위가 정치인 안철수를 망치기 위해 그러는 것이 아니다. 여전히 많은 청년들이 안 의원을 좋아한다. 안 의원은 대통령 후보까지 올랐던 사람이다. 재선 국회의원 안철수가 청년들에게 무슨 매력이 있나. 그에게는 청년세대의 부당한 상황을 바꿔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다. 그 염원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 안 의원의 행보가 지역구로 확 쪼그라들면 안 된다. 노원 주민 중 어렵게 사는 사람들도 많지만 이 사람들을 위해서만 역할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안 된다. 안 의원은 그 지역의 구의원 등을 중앙정치에서 어떻게 잘 서포트할까 고민하면 되는 것이다.”
-박지원 의원은 검찰에 공천권을 줘서는 안 된다는 말을 했다. 탈당도 시사했다.
“참 어려운 문제다. 정치는 기본적으로 국민의 마음을 얻는 일이다. 공천권을 검찰에 반납한다기보다 국민의 상식에 반납한다는 게 맞다. 이때는 국민의 마음을 어떻게 하면 더 얻을 수 있을까가 잣대가 돼야 한다. 법을 잣대로 하면 무죄추정의 원칙을 지켜야 하겠지만 국민의 마음을 얻는 선거라는 잣대로 보면 아프지만 불출마가 옳다고 본다. 탈당을 한다면 국민의 마음 얻는 게 더 어려워지지 않겠나. 국민들은 현명하다. 나는 국민의 시각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본다.”
-조경태 의원이 제명 요구를 하고 나선 데 대해서는.
“나는 조 의원의 이야기를 경청해야 한다고 본다. 반면에 조 의원도 반대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왜 생기는지 보시면 좋을 것 같다. 당 밖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얻는 인기도 중요하지만 당 안에 있는 사람도 설득해야 더 큰 정치인으로 가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안병욱 윤리심판원장이 사의 표명을 했다.
“윤리심판원은 우리 당의 사법부다. 심판원을 신뢰하지 않으면 무슨 필요가 있나. 누군가 배트맨 가면 쓰고 심판 해버리면 되지. 계파 갈등의 골이 깊어 심판원을 만든 것 아니냐. 누가 원장 자리에 가더라도 믿어줘야 하는데 계파색을 씌우면 예수님이 와도 그 자리에서 못 버틸 것이다. 어떤 결과가 나와도 ‘친노 봐주기’ ‘비노 죽이기’ 얘기하는 건 온당치 않다. 시작부터 이러면 당의 기강을 어떻게 세우겠는가. 그 자리에 누가 올 수 있겠느냐. 대안으로 국민배심원제를 제안한다. 국민들을 일정 부분 참여시켜서 심판원이 판단을 내리는 데 도움을 받게 하자.”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인터뷰-새정치민주연합 이동학 혁신위원] “안철수, 지역구만 생각한다면 구의원 하라”
입력 2015-09-26 0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