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사태 일파만파] BMW까지 유탄… “클린 디젤차 종말 앞당길 것”

입력 2015-09-26 02:59
배출가스 조작 스캔들로 위기에 빠진 폭스바겐 그룹의 독일 볼프스부르크 본사 앞에 25일(현지시간) ‘거짓말은 그만’이라고 쓰인 피노키오 패널이 세워져 있다. AFP연합뉴스
폭스바겐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파장이 일파만파로 번지는 가운데 BMW까지 배출가스 논란에 휩싸였다. 자동차산업 분석가들은 이번 스캔들의 후폭풍이 디젤 차량이 친환경적이라는 ‘클린 디젤’의 종말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전망까지 내놓고 있다.

독일의 자동차전문지 ‘아우토 빌트’는 24일(현지시간) BMW의 일부 디젤차량 모델이 내뿜는 배출가스가 유럽연합(EU) 기준치의 11배에 달한다는 의혹을 제기해 BMW의 주가가 장중 10% 가까이 폭락했다.

번스타인 리서치의 맥스 워버튼 자동차산업 애널리스트는 ‘이것이 디젤 차량의 종말을 의미하느냐’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질문에 “분명히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디젤 차량이 공식적 차량검사 기준은 맞추지만 휘발유 차량만큼 깨끗하지 않다는 점을 규제 당국이 알게 되면서 최근 몇 년간 디젤 차량에 대한 압박이 심해졌다”고 말했다. 미국의 폭스바겐 차주들이 집단소송을 잇따라 제기하고 있는 가운데 영국에서도 집단소송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24일 제조물책임법 전문 로펌들에 폭스바겐 차주들의 문의가 빗발치고 있다고 전했다. 런던 소재 로펌 ‘레이 데이’ 대변인은 “문의가 물밀듯이 몰려들고 있다”면서 “아마도 수천건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로펌 ‘슬레이터 & 고든’ 대변인도 “어떻게 해야 할지를 묻는 문의전화가 쏟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각 주(州)도 본격적인 조사를 시작했다. 미국 50개주 법무장관 협의체의 대변인인 리사 매디건 일리노이주 법무장관은 최소 29개주에서 디젤차량 구매자에 대한 폭스바겐 측의 설명을 듣기 위한 공조 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조사 과정의 하나로 각 주 법무부는 폭스바겐에 소환장을 보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폭스바겐은 위기 탈출을 위해 마티아스 뮐러(62·사진) 포르쉐 최고경영자(CEO)에게 그룹의 사령탑을 맡길 것이라고 독일 언론들이 보도했다. 이번 사태 책임을 지고 사임한 마르틴 빈터코른 전 회장과 지난 4월 치열한 권력다툼을 벌였다가 밀려난 페르디난트 피에히(78) 전 회장이 뮐러를 지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폭스바겐은 2013년 환경부 조사에서도 인증받은 내용과 다른 자동차 부품을 제작·판매해 리콜 대상으로 지정됐지만 아직 이행하지 않고 있다. 해당 차종은 아우디 A4 2.0 TDI, A6 2.0 TFSI 2종 2200여대다. 환경부는 지난 7월 시행된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라 폭스바겐 측이 연말까지 리콜 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검찰에 고발할 방침이다.

배병우 선임기자, 전수민 기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