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유엔총회 참석차 출국을 앞두고 25일 블룸버그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에 대해 추가 도발을 하지 말 것을 거듭 촉구했다.
‘4차 핵실험’ 또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 등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위배되는 도발 행위’라고 표현해 사실상 핵실험, 미사일 발사에 대한 강력한 경고장을 보냈다. 우리 정부와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추가적인 도발을 감행할 경우 더욱 강력한 제재가 기다릴 수밖에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실제로 유엔총회 무대에서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는 것과 동시에 북한의 추가 도발을 억지하기 위한 예방 외교에 주력할 방침이다.
블룸버그 통신도 “박 대통령의 대북 경고는 북측의 위협적 수사 수위가 높아진 데 대한 대응에서 나온 것”이라며 “전 세계 지도자들이 모이는 유엔총회에서 박 대통령은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는 한편 비핵화 회담에 복귀하도록 압박을 가하는 돌파구를 모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도 북한을 ‘한국 안보에 대한 위협’인 동시에 ‘한반도 통일 달성을 위한 잠재적 동반자’라고 규정했다. 북한이 핵 포기 결단을 내린다면 국제사회로의 복귀는 물론 평화통일 논의를 위한 카운터파트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대한 중국의 레버리지(영향력)를 행사해 달라고 요청할 것을 기대한다”고 한 박 대통령의 인터뷰 내용도 같은 맥락이다.
박 대통령은 10월 말 또는 11월 초 개최 예정인 한·중·일 정상회의에 대해선 “3국 정상이 북핵을 비롯, 주요 현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북핵 대응의 공통분모를 확대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집단적 자위권 행사가 가능해진 일본의 안보법안 통과와 관련해선 “일본 정부는 최근 통과된 방위안보법률과 관련된 일본 국내외의 우려를 충분히 감안해야 할 것”이라며 “이 법안이 확대 해석돼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과 일본은 경제협력 강화로 얻을 것이 많다”고 지적한 뒤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내 현안에 대해선 “경제 성장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결실을 보기 시작했고, 남은 임기 동안 이런 개혁을 지속하겠다”며 “‘부패척결’과 ‘창업정신 고양’도 핵심 어젠다”라고 밝혔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朴 대통령 “北, 추가 도발 말라” 거듭 촉구
입력 2015-09-26 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