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한국의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했지만 글로벌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도를 반영하는 수치는 변동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24일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CDS(신용디폴트스와프)는 채권을 발행한 기업, 국가가 부도가 났을 때 손실을 보상해 주는 파생상품으로 부도 위험에 따라 가산금리(프리미엄)가 붙는다”며 “CDS 프리미엄이 높을수록 부도 위험이 커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데 S&P 발표 직후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CDS 프리미엄은 지난달 24일 중국 증시 불안에 ‘북한 리스크’까지 더해지면서 80bp(1bp=0.01% 포인트)로 치솟았다. 이후 북한 리스크 등이 해소되면서 14일 68bp까지 내려갔고 S&P 발표 직후인 15일부터 사흘 연속 1bp씩 내렸다. 그러나 기재부 설명과는 달리 22일 현재 68bp로 발표 이전 수치로 돌아갔다.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 가산금리도 큰 변동이 없다. 외평채는 정부가 외환을 매매하기 위해 조성한 기금인데 위험도에 따라 가산금리가 붙는다. 가산금리가 오를수록 국가 신인도는 떨어진다. S&P 발표 당일 35bp였던 ‘2019년 만기 외평채’ 가산금리는 23일 현재 38bp다.
지난 18일 미국 블룸버그 통신은 ‘일본이 한국보다 위험하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S&P가 디폴트 스와프를 고려하지 않고 신용등급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일본의 CDS 프리미엄은 평균 36bp, 한국은 63.5bp다. S&P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한 다음 날 일본의 신용등급을 한 단계 내렸다. 한국의 AA-보다 낮은 A+다.
이 같은 현상을 두고 전문가들은 금융 시장에서 한국의 자산이 재평가 받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증권사 관계자는 “여전히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계속되고 있다”면서 “비슷한 신용등급의 다른 나라보다 한국의 CDS 프리미엄이 높다”고 설명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신용등급 올라도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쭉∼?… S&P 상향발표 뒤 내렸던 CDS 프리미엄 다시 제자리
입력 2015-09-25 0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