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편도 먹고 투호도 하고 사물놀이도 보고 민화도 그리고…. 추석 연휴기간 전국 박물관들과 고궁, 조선왕릉 등이 문을 활짝 열고 시민들을 맞는다.
4대 궁(창덕궁 후원 제외)과 종묘, 조선왕릉, 현충사, 칠백의총은 추석 연휴에 휴무 없이 개장하고 추석 당일인 27일에는 무료 개방한다. 덕수궁에서는 국악 공연 ‘풍류’와 ‘고궁에서 우리 음악 듣기’가 진행되고, 종묘에서는 ‘이야기가 있는 종묘제례악’이 마련된다. 또 현충사와 칠백의총, 세종대왕릉인 영릉에서는 투호와 윷놀이 등 전통 민속놀이를 체험할 수 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26일부터 30일까지 ‘풍성한 가을, 달빛도 좋아라’를 내걸고 다양한 세시행사를 진행한다. 26∼29일 박물관 본관 앞마당에 가면 민화 그리기, 한지로 선물상자 만들기, 짚으로 달걀꾸러미 만들기, 단소 만들기 등 평소 접하기 어려운 공예 체험을 할 수 있다. 베짜기 시연, 달이 뜨면 놀았던 영덕월월이청청 공연, 평택지역에서 전해지는 사물놀이인 평택농악 등도 구경할 수 있다.
추석 당일인 27일에는 관람객에게 송편과 식혜를 나눠주고, 28∼29일에는 베트남 월남쌈과 일본 오하기 등 외국 음식을 판매한다. 또 놀이마당에서는 27∼28일 돼지씨름, 팔씨름, 투호, 팽이 등 민속놀이 경연이 펼쳐진다. 어린이를 데리고 온 가족은 어린이박물관 앞마당에서 거북놀이와 지신밟기, 송편 문양 배지 만들기, 청사초롱 만들기, 세계 악기 체험 등에 참가할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7일과 28일 오후 진주 지방에 전해오는 여성 검무인 ‘진주검무’ 공연을 선보인다. ‘검기무’ 또는 ‘칼춤’이라고도 불리는 진주검무는 궁궐 연회에서 펼쳐지던 춤이다.
지방 소재 12개 국립박물관도 다양한 민속놀이와 전통음식 체험 프로그램들을 공통적으로 운영한다. 국립경주박물관의 ‘송편과 다식 만들기’를 비롯해 국립부여박물관의 ‘전통활과 솟대 만들기’, 국립공주박물관의 ‘한가위 군밤 맛보기’, 국립광주박물관의 ‘목판 찍기 체험’, 국립춘천박물관의 ‘우리집 가훈 쓰기’ 등 박물관 별로 특색 있는 프로그램들도 눈에 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한가위 공연] 풍성한 가을, 달빛도 좋아라
입력 2015-09-25 0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