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23일 제시한 내년 20대 총선 대책은 국민 공감을 얻을 만하다. 제1야당의 국민 지지율이 집권 새누리당의 절반 수준인 데다 신당 창당이 기정사실화돼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안(案)이다. 당의 혁신을 가속화함으로써 역량을 재결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혁신위가 마련한 공천검증 기준은 국민 정서에 상당히 부합한다. 각종 비리 혐의로 기소만 돼도 공천 때 정밀심사 대상에 포함시켜 불이익을 주기로 한 것은 잘한 결정이다. 무죄 추정의 원칙에 배치된다는 반론이 제기될 수도 있지만 공직 후보자는 검찰이나 법원 출입을 하지 않은 사람이 좋다. 1심이나 2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이 공천을 받아 출마할 경우 유권자들은 심각한 고민에 빠진다. 억울한 기소나 판결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구제 장치를 마련한 만큼 특별히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혁신위 안에 따라 불이익을 받게 될 박지원 김재윤 신계륜 의원 등이 강력 반발하겠지만 개의치 않는 게 좋겠다. 정치 혁신, 당 혁신은 두말할 필요도 없이 오로지 국민을 쳐다보고 해야 한다. 당 소속 정치인들의 손익에 휘둘리면 절대 성공할 수 없다. 천정배 박주선 의원, 박준영 전 전남지사 등이 추진 중인 신당 창당에 제동을 걸기 위해서라도 혁신위 안을 올곧게 실천해야 한다. 공천 준비 단계인 현역 의원 평가 작업도 가급적 서두르는 게 옳다. 탈락 가능성이 있는 현역 의원의 이탈을 염려해 우물쭈물하면 당 혁신이 물 건너가게 된다는 점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혁신위가 문재인 대표 등 중진들에게 총선 때 살신성인의 자세로 열세 지역에 출마하거나 아예 불출마 선언할 것을 요청한 것도 바람직한 제안이다. 정세균 이해찬 문희상 김한길 안철수 등 전직 대표들이 대상이다. 총선 최대 격전지는 수도권을 제외하면 부산이 될 가능성이 높다. 또 새정치연합 입장에선 부산에서 바람을 일으켜야 2017년 대선을 기대해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대표 경선 때 불출마를 선언했던 문 대표와 서울 노원병 보궐선거에서 배지를 단 안철수 의원은 연고지인 부산에서 새누리당과 정면승부를 해볼만 하다. 두 사람이 대선 예비주자로서 치열하게 경쟁할 경우 당의 볼륨을 덩달아 키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새정치연합으로선 이번 정기국회에 어떻게 임하느냐도 매우 중요하다. 집권세력을 무조건 흠집 내는 지금까지의 편협한 언행은 무조건 접어야 한다. 정부 정책에 대해 시시비비를 가리되 책임감을 갖고 대안을 제시하는 수권정당의 면모를 보여줘야겠다. 그것은 신당, 분당 사태를 막기 위한 필수조건이기도 하다.
[사설] 새정치연합, 혁신 차질없이 실천해야 살 수 있다
입력 2015-09-24 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