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학교 자유학기제 전면시행 연착륙하려면

입력 2015-09-23 00:51
초·중·고교에 2018년(초등 1∼2학년은 2017년)부터 연차적으로 적용되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이 22일 확정됐다. 교육부와 국가교육과정 개정연구위원회가 지난해 9월 작업에 착수한 지 정확히 1년 만에 나온 최종안이다. 문과와 이과의 구분이 없어지고 수학, 영어를 비롯해 교과별 학습량이 현재보다 20% 가까이 줄어든다. 이는 현재 교육 과정의 ‘지식편중’ 현상을 개선하자는 취지다. 시대 흐름에 맞는 방향이다. 교육 현장에 연착륙할 수 있는 후속 대책도 마련돼야 할 것이다.

이번 개정안에서 눈에 띄는 대목은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근거가 마련됐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현재 일부 학교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는 자유학기제는 내년부터 전국 3200여개 모든 중학교로 확대된다. 다양한 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편성·운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수업은 토론과 실험·실습, 동아리 활동, 직업 탐색 등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중학교 교육과정의 패러다임이 확 달라지는 셈이다.

무엇보다 암기와 주입 위주 교육에서 탈피할 수 있어 긍정적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 교육 공약이기도 한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6학기 중 한 학기 동안 중간·기말고사 없이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는 다채로운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과과정을 유연하게 운용하는 제도다. 2013년 42개교에서 처음 시범 시행된 뒤 학생들의 반응이 좋아지자 지난해 811개교, 올해 2550여개교로 늘어났다.

하지만 우려도 적지 않다. 사회적 인프라가 부족하고 교사의 전문성도 떨어져 체계적인 체험교육이 되기 어렵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지방의 중소도시나 농어촌 지역의 상황은 더더욱 열악한 편이다. ‘노는 학기’로 생각하는 학부모들의 걱정도 만만치 않다. 자녀들의 학력저하 염려는 또 다른 사교육 팽창으로 이어지고 있다. 벌써부터 강남 학원에는 학교 시험 걱정 없을 때 마음껏 진도를 뽑아야 한다며 ‘자유학기제 코스’가 우후죽순처럼 생기고 있을 정도다. 학생들의 학업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정부의 의도를 무색케 한다.

교육부는 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 스웨덴의 ‘진로체험학습’ 등을 벤치마킹했다. 하지만 아일랜드는 전체 학교 중 75%까지 확대하는 데 무려 39년이나 걸렸다고 한다. 불과 3년 만에 시행하게 되는 우리로서는 남은 기간 치밀한 준비가 필요하다. 예상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학교 현장과 여건에 맞은 정교하고 내실 있는 세부 계획을 짜야 한다. 인프라를 충분히 갖추고 지역사회와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제도 정착을 위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도 있어야 한다. 그래야 학생 스스로 꿈과 끼를 마음껏 펼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