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사내 하도급 근로자 6000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키로 한 ‘정규직화 특별채용 합의안’이 21일 비정규직 노조 투표에서 부결돼 현대차 비정규직 문제가 다시 안갯속으로 빠져들게 됐다.
현대차 울산 비정규직 노조는 이날 울산공장에서 잠정 합의안에 대한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재적 대비 53.5%의 반대로 부결됐다고 밝혔다.
투표에는 전체 조합원 717명 가운데 638명이 참여했으며 찬성 244표, 반대 384표, 무효 10표가 나왔다.
현대차, 사내협력업체 대표, 정규직 노조, 비정규직 노조, 금속노조 등이 지난 14일 울산공장에서 마련한 잠정 합의안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채용 인원을 기존 4000명에서 2017년 말까지 6000명으로 확대, 근속기간 일부 인정, 노사 민·형사상 소송 취하 등을 담고 있다.
이 합의안은 2005년 현대차 사내 하도급 근로자가 정규직 인정을 요구하며 부당해고·부당노동행위 구제신청을 한 지 10년 만에 도출된 것이다.
합의안 부결로 현대차 비정규직 문제를 두고 노사 마찰이 다시 격화되거나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노사 전문가들은 사측이 사내 하도급 근로자를 대상으로 진행해 온 특별채용에 지원한 조합원들이 이미 정규직이 돼 노조를 떠난 데다 소송에서 ‘정규직 판결’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점 등이 부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정규직 채용 합의안 부결
입력 2015-09-22 0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