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위 산업은행 국감] “대우조선 재임때 적자 났는 줄 몰랐다” “연임 욕심에 감춘것 아니냐”

입력 2015-09-22 02:36
산업은행 국정감사는 사실상 대우조선해양 국감이었다. 대주주인 산은뿐 아니라 증인으로 나온 대우조선해양 전현직 최고경영자(CEO), 최고재무책임자(CFO) 등을 상대로 책임 추궁이 이어졌다.

국회 정무위원회가 21일 서울 여의도 산업은행에서 진행한 국감에서 여야 의원 모두 대우조선해양 분식회계 의혹을 지적했다. 경쟁사인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이 손실을 반영할 때 대우조선해양만 흑자로 발표했다 올해 2분기 3조원 넘는 영업손실을 발표한 이유를 집중적으로 물었다.

고재호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재임시절) 적자를 파악하지 못했다”며 “해양플랜트 계약이 복잡하고 회사마다 갖고 있는 제품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적자가 났다고 해도 예단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해명했다.

지난 5월 취임한 정성립 사장 역시 “취임 전 적자를 몰랐다”며 “9년 만에 대우조선해양에 돌아와 회사 상황을 점검하는 상황에서 부실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산은 출신 김열중 CFO는 “지난 5월 원가 절감을 위해 외부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견됐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박대동 의원은 고 전 사장에게 “연임 때문에 부실을 감춘 것 아니냐”고 날을 세웠다. 고 전 사장은 “CEO라 하더라도 자의적으로 간섭할 여지가 없다”고 일축했다. 분식회계 의혹에 대해 정 사장은 “확실히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현재 이와 관련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실사가 진행 중이다.

산은의 관리 능력도 도마에 올랐다. 의원들은 삼성중공업과 현대중공업에서 부실이 발생하는데도 대우조선해양의 보고만 믿고 대처하지 않은 산은의 행보를 지적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병석 의원은 “대우조선이 5월 27일까지 1조2000억원 손실처리했기 때문에 앞으로 손실이 없을 것이라 보고했지만 몇 달 만에 큰 손실이 발생했다”며 “허위보고라면 분식이고, 새로 발견된 것이라면 무능력을 뜻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홍기택 산은 회장은 쏟아지는 질타에 “CFO가 재무자료를 지속적으로 점검했지만 복잡한 해양 프로젝트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답변했다. 이어 “실사 후 추후 책임문제가 발생하면 합당한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박은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