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2000억대 ‘짝퉁 명품’ 수입·유통 적발

입력 2015-09-22 02:41
경찰이 ‘중국산 짝퉁’ 수입·유통조직으로부터 압수해 21일 공개한 해외 명품 브랜드의 신발과 의류. 경찰청 제공

시가 2000억원대 중국산 ‘짝퉁’(위조명품)을 국내로 들여와 판매한 일당이 적발됐다. 단일 조직이 수입·유통한 위조 명품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한 세관 공무원은 이들에게 뇌물을 받고 범행을 도운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

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해외 고가 상표를 도용한 위조품을 국내에 유통한 혐의(상표법 위반 등)로 조직원 7명 전원을 검거했다고 21일 밝혔다. 수입통관 총책 문모(51)씨와 수입통관책 정모(46)씨, 국내판매 총책 김모(37)씨 등 3명이 구속됐다.

문씨 등 4명은 2013년 5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중국에서 루이비통 프라다 구찌 등을 베낀 위조 가방·지갑 등 15만6500여점(시가 2232억원 상당)을 불법으로 들여와 서울 동대문·이태원·남대문 일대 중간 판매상에게 판 혐의를 받는다.

이들은 중국 측 공급책에게서 이메일로 받은 개인정보 2만9000여건을 이용해 개인이 해외 상품을 ‘직구’ 방식으로 구매한 것처럼 위장했다. 개인이 온라인으로 물건을 사면 이름·전화번호·주소 등이 적힌 운송장만 검사한다. 이렇게 ‘수입 통관 절차 간소화 제도’를 악용하는 방법을 알려준 게 김포세관 6급 공무원 임모(50)씨였다.

경찰은 임씨가 문씨 등에게서 수천만원 상당의 뇌물을 받고 범행을 돕거나 묵인한 혐의(뇌물수수 등)를 잡고 지난 18일 사무실과 집을 압수수색했다.

문씨는 중국 측에 물건을 주문한 뒤 환치기 방식으로 대금을 지급했다. 중국에선 위조 명품을 항공화물 특송업체에 맡겨 인천국제공항으로 배송했다. 해상 컨테이너를 정상 화물로 위장하는 기존 방법과 달리 국제항공편을 이용한 것이다. 이렇게 문씨는 6억원, 정씨 등 전·현직 관세사 사무원 2명은 1억2700만원, 배송책은 4500만원을 챙겼다.

김씨 등 3명은 지난해 12월부터 이달까지 중국에서 공급받은 중국산 위조 명품 신발과 의류 1만8500점(시가 76억원 상당)을 국내에 팔아 약 7억원을 챙긴 혐의를 받는다. 이들은 물건을 경기도 양주의 야산 비밀창고에 보관하며 동대문시장과 강남역 일대 소매상 등을 통해 정품 대비 70∼80% 가격에 팔았다.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