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뇌에 빛을 쪼여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물질을 억제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빛을 이용한 퇴행성 뇌질환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카이스트(KAIST) 신소재공학과 박찬범(사진 왼쪽) 교수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센터 유권(오른쪽) 박사팀은 빛에 반응하는 유기분자(포르피린)를 투여한 뒤 빛(청색 LED광)을 쪼이는 방법으로 알츠하이머병을 일으키는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 안에 쌓이는 것을 억제했다고 21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뇌에서 만들어지는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응집돼 쌓이면서 시작된다. 이 응집체가 뇌세포 손상을 유발해 치매 같은 뇌기능 저하를 일으킨다.
병 부위에 빛을 쬐는 ‘광역학 요법’은 암 치료 등에 활용되고 있지만 알츠하이머병 같은 뇌질환에 적용된 사례는 없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초파리 실험에서 이 방법을 통해 신경·근육 접합부 손상, 뇌신경세포 사멸, 운동성 및 수명 감소 등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확인했다.
박 교수는 “빛 치료법은 적은 양의 약물로도 높은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고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최신호에 표지논문으로 발표됐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알츠하이머성 치매 ‘빛으로 치료’ 길 열었다
입력 2015-09-22 0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