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미국 첫 방문지는 시애틀이다. 시애틀은 보잉, 마이크로소프트(MS), 스타벅스, 아마존 등 2300여개 기업이 활동하고 있는 미국 북서부의 대표적 경제중심 도시다. 이곳을 첫 방문지로 선택한 것은 민감한 현안에 앞서 경제협력에서 접점을 찾겠다는 중국의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의 방미에는 마윈(사진) 알리바바 회장과 리옌훙 바이두 회장, 마화텅 텅쉰 회장, 양위안칭 롄샹(레노보) 회장 등 중국의 정보기술(IT) 업계 거물이 총출동한다. 또 금융권에서는 중국은행과 공상은행, 식품업체 솽후이와 이리 그룹, 자동차 업계에서는 완샹그룹 총수가 동행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중위안 그룹, 중국건축, 신아오에너지, 위황화공, 하이얼그룹, 톈진강관 등 분야별 주요 기업의 최고책임자들이 따라 나선다.
시 주석은 시애틀에서 ‘미·중 인터넷 산업 포럼’과 양국 기업 15곳이 각각 참석하는 최고경영자(CEO) 좌담회, 지방정부 지도자 포럼, 화교들과의 간담회 등 다양한 일정을 소화한다. 특히 CEO 좌담회에는 미측에서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 팀 쿡 애플 CEO, 메리 바라 제너럴모터스(GM) CEO 등이 참석할 예정이어서 양국의 대표적 기업인들이 머리를 맞댈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은 시애틀 근교에 있는 보잉 공장을 시찰하고 MS 본사도 방문할 예정이다.
중국 언론들은 특히 시 주석 방미에 앞서 미국과의 경협을 부각시키고 있다. 양국은 지난 13일 미국 고속철 건설을 위한 합자회사를 설립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합자회사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로스앤젤레스까지 370㎞ 구간의 고속철 건설과 관리를 맡게 된다. 신화통신 등은 2016년 9월 말 시작되는 이번 공사가 “미국에 건설하는 중국의 첫 번째 고속철 프로젝트”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중국은 이밖에 중국 기계설비공정유한공사가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과 공동으로 아프리카 케냐에 풍력발전소 60개를 건설하는 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총 투자 규모는 3억2700만 달러(약 3800억원)에 이른다. 보잉이 중국에 최종 조립 공장을 지을 계획이라는 보도도 나왔다. 중국 고속철회사 중궈중처는 지난 3일 미국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에 6000만 달러를 투자한 첫 공장을 착공했다. 양국의 지난해 교역 규모는 5551억 달러(약 652조759억원)로 전년 대비 6.6% 증가하면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또 지난해 말 현재 양국 간 상호 투자 규모는 1200억 달러(약 140조9640억원)에 이른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시진핑 오늘 방미] 시진핑의 중국 세일즈… 맨 먼저 시애틀 찾아 경제협력 접점 모색
입력 2015-09-22 0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