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20일 당무위원회·의원총회 연석회의에서 재신임을 받았다. 연석회의에서 대표 거취를 둘러싼 분열적 논란을 배제하고 추가 투표를 하지 않기로 결의해 문 대표 거취문제는 일단락됐다. 문 대표는 혁신안 통과에 이어 비주류와의 재신임 대결에서도 승리함으로써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대표직을 건 문 대표의 정치적 승부수가 먹힌 셈이다.
그러나 이번 결정에도 불구하고 비주류의 반발은 여전하다. 일부 비주류 의원들은 회의 참석을 보이콧하는 등 문 대표의 리더십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몇몇 의원들은 당 중앙위원회를 통과한 공천혁신안을 ‘비주류 죽이기’로 간주, 탈당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시기와 규모가 문제일 뿐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재신임을 받았지만 문 대표로서는 상처뿐인 영광이다.
문재인 체제의 순항 여부는 문 대표가 비주류를 얼마나 끌어안느냐에 달려있다. 문 대표는 대표직을 걸고 비노 등 비주류의 반대를 무릅쓰고 혁신안을 밀어붙여 통과시켰다. 그리고 기어이 재신임 카드도 자신의 뜻대로 관철시켰다. 이 과정에서 보여준 문 대표의 리더십은 소수의 의견을 배제한 채 철저히 다수의 힘에 의존한 ‘절차적 민주주의’에 가까웠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 결과 주류와 비주류는 얼음과 숯의 관계로 더 멀어졌다.
새정치연합의 혁신은 선택이 아니라 당위다. 내년 20대 총선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내려면 혁신 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 그러나 그 취지가 아무리 옳다고 해도 반대하는 소수를 포용하지 못하면 성공하기 어렵다. 박준영 전 전남지사의 ‘신민당’ 창당 선언에 이어 무소속 천정배 의원이 이날 ‘개혁적 국민정당’ 창당을 선언하는 등 야권 분열이 가속화되면서 새정치연합엔 구심력보다 원심력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비주류 탈당이 현실로 나타나면 당 혁신의 의미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일부 비주류의 이탈을 막기 위해 원칙을 포기하거나 후퇴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원칙의 범위에서 비주류 의견을 대폭 수용하는 유연함이 절실하다. 그런 점에서 안철수 전 공동대표가 정계 입문 3주년을 맞아 밝힌 무관용, 당내 온정주의 추방, 당 연대책임제 도입 등 당내 부패척결을 위한 3대 원칙을 문 대표가 받아들이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본다. 문 대표가 친노수장이라는 인상을 주는 한 친노·비노의 화학적 결합은 불가능하다.
비주류의 대안 없는 문 대표 흔들기는 공감대를 얻기 어렵다.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몽니에 다름 아니다. 당 지지율이 곤두박질한 책임은 문 대표를 비롯한 구성원 전체의 책임이다. 그럼에도 책임은 회피한 채 권리만 찾는 것은 비겁하다.
[사설] 문 대표, 친노수장에 머물러선 혁신·융화 요원하다
입력 2015-09-21 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