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성완종 리스트 수사 ‘감감 무소식’

입력 2015-09-19 02:27
자원외교 수사는 마무리됐지만 이 과정에서 불거진 ‘성완종 리스트’ 수사가 여전히 미완으로 남아 있다. 검찰은 “소환에 응하지 않겠다”며 되레 으름장을 놓았던 새누리당 이인제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 의원에게 소환 통보조차 하지 않고 있다. 두 의원에 대한 수사가 지연되면서 역시 금품수수 의혹을 받고 있는 김근식 전 새누리당 수석부대변인 수사도 매듭짓지 못하고 있다.

성완종 리스트 특별수사팀은 지난 7월 2일 이완구 전 국무총리와 홍준표 경남도지사를 재판에 넘기며 ‘중간 수사결과’ 발표를 했다. 당시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리스트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두 현역 의원의 금품수수 의혹이 뒤늦게 불거졌다. 특별수사팀이 남은 의혹까지 마무리 짓겠다고 밝혔던 만큼 ‘중간’이라는 단어에 방점이 찍혔었다.

그러나 중간수사 발표 이후 80일이 되도록 진척이 없다. 2012년 4월 총선 당시 성 전 회장에게서 2000만원을 수수한 의혹을 받고 있는 이 의원은 애초 입장을 번복한 채 검찰 소환에 응하지 않았다. 2013년 5월 민주당 대표경선 때 불법 정치자금 3000만원을 받은 의혹을 사고 있는 김 의원도 ‘야당 끼워넣기 수사’라는 당 지도부 입장에 따라 소환에 불응했다.

이미 경남기업 관계자 진술 등이 확보됐고, 직접 조사만 남은 상황이지만 검찰은 두 의원에게 소환 통보조차 하지 않았다. 검찰 관계자는 18일 “이 전 총리와 홍 경남지사 재판에 집중해야 했고, 국회 일정 등을 감안할 때 소환 통보에 실효성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특별수사팀이 중간 수사결과 발표를 기점으로 사실상 해체되면서 수사 동력이 떨어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검찰은 국정감사가 끝나는 대로 재차 두 의원에게 소환을 통보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두 의원에 대한 검찰의 직접 수사는 일러도 다음 달은 돼야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2012년 3월 불법정치자금 2억원 수수 의혹을 받는 김 전 부대변인 수사도 이때 일괄 처리할 방침이다. 지난 6월 소환에 불응하다 긴급체포된 김 전 부대변인은 법원에서 구속영장이 기각된 이후 검찰 소환에 응하지 않았다. 검찰은 내부적으로 불구속 기소 방침을 굳힌 것으로 전해졌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