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美 기준금리 동결, 불확실성 관리에 만전을

입력 2015-09-19 00:00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시장의 예상대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연준의 이번 결정은 미국이 급박하게 금리를 올리지는 않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일단 글로벌 금융 불안 심화와 경기 둔화를 방지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외화자금 유출로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는 신흥국들은 한숨을 돌리게 됐다.

그러나 연준의 금리인상은 시기가 문제일 뿐 이미 상수(常數)가 된 상태이기 때문에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오히려 일각에서는 금리동결이 불확실성을 더욱 짙게 만들었다며 부정적인 반응마저 보이고 있다. 어차피 올릴 것인데 차일피일 미루면서 신흥국들의 정책 결정에 혼선만 준다는 지적이다. 연준이 금리동결 배경을 설명하면서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성장세 둔화 등 글로벌 경제 상황을 언급한 것은 주목할만하다. 미국 국내 사정만 보면 금리를 올려도 무방함에도 동결한 것은 세계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안했다는 뜻이다. 앞으로 금리를 인상하더라도 글로벌 경제에 미칠 파장을 고려해 속도조절을 할 것이란 시그널로 볼 수 있다. 미국 금리인상에 주목하고 있는 우리로서도 그나마 다행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 경제는 세계 6위의 외환보유액등 외화 유동성이 넉넉한 만큼 미국이 금리를 올리더라도 과거 외환위기 때와 같은 충격은 겪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형환 기획재정부 1차관도 18일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한국경제는 어떤 충격도 충분히 감내할 펀더멘털(기초여건)이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러나 만사 불여튼튼이다. 더욱이 우리는 국내총생산의 70% 정도에 해당하는 가계부채가 뇌관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외환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변동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겠다. 아울러 신흥국의 경제상황 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등 체계적인 전략을 실천해나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