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 요금으로 통신거품 빼겠다”… KMI, 주파수 신청 앞두고 제4이통사 7번째 출사표

입력 2015-09-18 02:33
제4이동통신 사업 참여 의사를 밝힌 KMI(한국모바일인터넷) 컨소시엄 공종렬 대표(오른쪽 세 번째)가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사업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4이동통신 사업자용 주파수 할당 신청 마감을 한 달여 앞두고 후보 사업자들이 ‘반값 요금’ 등을 주창하며 도전장을 내밀었다. 대기업 중심의 기존 이동통신 사업자와의 마케팅 경쟁보다는 요금이나 서비스 등을 차별화해 시장에서 살아남겠다는 전략이다.

7번째 도전에 나선 한국모바일인터넷(KMI) 컨소시엄은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17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제4이동통신 사업 참여 계획을 발표했다. 제4이동통신이란 기존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외에 신규 사업자를 시장에 진입시켜 경쟁시키겠다는 취지로 추진돼 왔다. KMI는 유선 인터넷에 가입하지 않아도 스마트폰 데이터를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를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공종렬 KMI 대표는 “시장에서 요금보다 더 큰 무기는 없다”며 “요금 경쟁을 선도해 통신비 거품을 빼겠다”고 말했다.

KMI 측이 내놓은 요금제(안)에 따르면 유·무선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의 월 기본료는 5만5900원이다. 음성·문자뿐 아니라 데이터가 무제한으로 제공되고, 모바일 요금으로 초고속 인터넷과 IPTV(인터넷TV)도 이용할 수 있다. 기존 통신3사가 제공하는 모바일 전용 데이터 중심 요금제가 6만원대, IPTV·인터넷 요금이 3만원대인 점을 감안하면 기존 요금의 60∼70% 수준이다. 이동통신 단독 요금은 기존 통신요금의 30∼50% 수준이 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우리텔레콤 역시 ‘반값 요금제’를 선보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월 3만원이 넘지 않는 요금제를 운영해 이통3사와 요금경쟁을 벌이겠다는 것이다. 이밖에도 인터넷스페이스타임(IST), 퀀텀모바일, 알뜰폰 사업자인 세종텔레콤 등 6∼7곳이 제4이동통신 사업을 신청할 것으로 전해졌다.

제4이동통신 사업에 대한 전망은 엇갈린다. 이동통신 사업은 통신망과 기술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야만 하는 분야다. 기존 이통3사는 막대한 자금을 보유한 대기업인 반면 제4이동통신 후보자로 거론되는 사업자들은 자금력이 부족해 제대로 된 경쟁을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공 대표는 “기존 3사는 다수의 망을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엄청난 고정비용이 발생하지만, 제4이통사는 망 하나로 모든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 연 1조∼2조원 수준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제4이동통신이 시장 안착에 실패하면 가입자가 제대로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돼 피해가 클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하지만 제4이동통신 사업 후보자들은 과거 신세기통신, 한솔PCS, KTF 사례를 들며 “인수·합병을 통해 시장 내 정리가 돼 왔기 때문에 가입자나 투자자 부담으로 돌아간 사례가 없다”고 반박했다.

사업자 선정을 주관하는 미래창조과학부는 다음 달 30일까지 제4이동통신 사업자 주파수 할당 신청을 받고 내년 1월쯤 사업자를 선정한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