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중앙위원회는 16일 총선 공천 개편을 핵심으로 한 혁신안을 통과시켰다. “혁신안이 부결되면 사퇴하겠다”며 배수의 진을 쳤던 문재인 대표는 일단 한 고비를 넘었다. 하지만 비주류 진영이 중앙위원회 절차에 대해 “비민주적”이라며 반발하고 있어 당내 갈등이 수습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새정치연합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중앙위원회에서 ‘공천혁신안’과 당 지도체제 변경을 당헌에 반영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전체 중앙위원 576명 중 417명이 참석했고, 두 안건 모두 표결 없이 박수로 통과됐다. 당은 최고위원제 폐지안 처리 때는 371명, 공천혁신안 처리 때는 340명이 각각 회의장에 있었다고 밝혔다. 비주류 의원들이 항의의 표시로 퇴장했지만 극소수에 그쳤다. 이에 따라 여야가 합의한 ‘안심번호제’가 도입될 경우 내년 총선을 위한 당내 경선에 참여하는 선거인단은 100% 일반 시민으로 구성된다.
‘공천혁신안’ 처리는 당초 주류와 비주류 간 세 대결이 예상됐지만 실제 혁신안 찬성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일부 비주류 의원들이 “대표의 거취와 연결된 인사 문제”라며 무기명 비밀 투표를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문 대표는 중앙위 직후 기자들과 만나 “회의에 참석한 중앙위원 절대다수가 혁신안에 찬성해 혁신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됐다”며 “제대로 혁신하고 당을 통합시켜 ‘이기는 정당’을 만들어 달라는 중앙위원들의 요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상곤 혁신위원장도 “새정치연합 혁신의 기틀이 마련됐다. 이제 또 다른 시작”이라고 했다.
당 중앙위가 논란이 된 공천혁신안을 통과시켰지만 갈등의 불씨는 여전하다. 비주류 의원들이 혁신안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고 있는 데다 중앙위의 안건 처리 절차에 대해서도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직전 공동대표였던 안철수 김한길 의원은 중앙위에 불참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중앙위에서 당 통합을 위한 추진 기구 구성을 제안하기도 했다.
문 대표는 여전히 재신임 투표 절차를 별도로 밟겠다는 입장이어서 또 한번 주류·비주류 진영 간 충돌이 예상된다.
임성수 고승혁 기자 joylss@kmib.co.kr
野, 혁신안 통과… 文, 위기는 계속
입력 2015-09-17 0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