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혁신안 통과] 文, 재신임 투표도 속전속결?

입력 2015-09-17 02:23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운데)가 1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당 중앙위원회에 참석해 한 중앙위원의 발언을 들으며 입을 꽉 다물고 있다. ‘혁신안 찬성파’인 전병헌 최고위원(왼쪽)은 밝은 표정을 짓고 있고, 이종걸 원내대표는 굳은 얼굴이다. 구성찬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16일 혁신안이 통과된 이후 재신임 투표까지 속전속결로 밀어붙일지에 관심이 쏠린다.

문 대표는 혁신안 통과와 별개로 재신임 투표를 진행하겠다는 뜻이 확고하다. 그는 중앙위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혁신안 통과가 재신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가 말씀드린 재신임은 남아 있다”며 “추석 전까지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문 대표의 기본 입장은 재신임 투표를 통해 당내 갈등에 종지부를 찍자는 것이다. 비주류 진영에서 ‘문재인 퇴진론’이 계속되는 만큼 국민과 당원의 뜻을 물어 소모적 논란을 끝내자는 전략이다.

하지만 문 대표도 비주류 진영의 반발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안철수 의원 등 비주류 측은 재신임 투표를 아예 철회하거나 다음달 8일 끝나는 국정감사 이후로 미룰 것을 요구하고 있다. 문 대표는 앞서 안 의원과의 회동 후에는 재신임 투표와 관련해 “협의해보겠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문 대표가 ‘협의’라는 표현을 쓴 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재신임 투표 철회 여지를 남겼다는 것이다.

또 문 대표가 본인의 거취와 사실상 연계시켰던 혁신안이 중앙위에서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된 만큼 굳이 재신임 투표까지 강행해 당을 대결구도로 몰고 갈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힘을 얻는 모양새다. 재신임 투표를 철회하면 최고조에 달한 주류와 비주류의 갈등을 일단 봉합할 수 있다는 해석이다. 문 대표는 재신임 투표 철회로 비주류 진영의 요청을 수용했다는 명분이 생기고, 안 의원 등 비주류도 자신들의 주장을 관철했다는 모양새를 갖출 수 있다는 것이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