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종교편향 시정… 기독교 공정하게 서술하라” 교계 공대위 기자회견

입력 2015-09-17 00:31

한국기독교역사교과서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대책위원장 이강평 목사)와 한국교계·국회평신도5단체협의회(상임대표 김영진 장로) 등 한국교회 8개 단체는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교육부는 2015년 역사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에 나타난 종교편향을 시정하고 기독교에 대해 공정하게 서술하라”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지난 11일 경기도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국사관 대강당에서 진행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역사과 편찬준거 개발시안 공청회’ 자료를 공개했다.

여기에서 발췌한 ‘2015년 교육과정과 집필기준(고교 한국사) 시안의 종교 관련 내용’(표 참조)에 따르면 개항 이후 근대사에서 종교에 관한 내용, 특히 기독교에 대한 부분이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 반면 전근대사에선 불교 유교 도교 천주교 천도교(동학) 정감록 등 모든 종교에 대해 서술토록 명시했다. 같은 날 국사편찬위원회가 발표한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과 집필기준’도 상황은 비슷했다.

이들 단체는 성명서에서 “전근대를 설명하는 대목에선 불교와 유교를 통해 대륙의 문화가 한국에 전달됐다고 서술했는데 근현대사에선 기독교를 통해 서구문명이 유입된 것에 대해 아무런 언급이 없다”고 지적했다.

기독교 관련 내용이 포함된 2011년 집필기준 내용마저 삭제된 것으로 밝혀졌다. 공대위 대책전문위원장 박명수 교수는 “2011년 교과서 집필기준에 나왔던 ‘개항 이후 개신교의 수용과 각 종교의 활동에 대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해서 서술하도록 유의한다’는 내용이 현재 집필기준에서 빠졌다”며 “기독교에 관한 공정한 서술이 이뤄지기는커녕 그나마 집필기준에 포함돼 있던 한 줄마저 삭제됐다”고 말했다.

이강평 대책위원장은 “교육부는 역사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에 개항 이후 근대사회의 종교에 대해 언급해야 한다”면서 “특히 기독교가 서구문물의 도입과 근대사회 형성에 끼친 역할에 대해 분명하게 서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를 교육부와 국회에 전달하기로 했다.

김아영 기자 cello0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