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청년 일자리 해결을 위한 ‘청년희망펀드’(가칭)에 일시금 2000만원 및 매달 월급의 20%를 기부하기로 했다. 정부는 청년 취업난 해소에 지도층이 솔선수범한다는 취지로 공직사회에 펀드 가입을 독려할 예정이지만, 민간의 참여가 확보되지 않은 채 즉흥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보여주기식 전시행정이란 비판이 제기된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16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위원 간담회를 개최하고 펀드의 추진 방안을 확정했다. 전날 박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펀드 조성을 제안한 데 따른 것이다. 정부는 펀드를 운영할 ‘청년희망재단’(가칭)을 올 연말까지 설립하고 펀드 조성 및 활용 방안 등을 맡길 예정이다. 추경호 국무실장도 기획재정부 법무부 미래창조과학부 등을 포함한 9개 유관기관과 관계부처 차관회의를 열고 펀드 조성 및 활용, 재단 설립 등에 대한 세부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펀드는 청년 구직자에 대한 지원,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한 민간 일자리 창출 지원 용도로 사용될 예정이다. 박 대통령의 기부액은 지난해 연봉(1억9255만원) 기준으로 매달 320여만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등 여당 최고위원 전원도 펀드 기부에 동참키로 결정했다. 원 원내대표는 “노동개혁의 고통을 분담한다는 차원에서 저도 원내대표 자격으로 동참하고자 한다. 많은 의원이 동참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무총리와 국무위원, 공공기관장들도 우선적으로 참여하며 추후 공직사회 및 민간 차원에서도 참여를 독려키로 했다.
황 총리는 “사회 지도층이 자발적으로 펀드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끌어 나가겠다”며 “월급이나 소득에 대한 일정비율 또는 일정 금액 기부를 통해 펀드를 조성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 구직자와 아르바이트 등의 비정규직 청년을 대상으로 한 취업기회도 최대한 확대해 나가겠다. 노사 모두 어려운 결단을 내려주신 만큼 정부도 청년희망펀드를 통해 청년들에게 큰 희망을 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청년희망 펀드’ 제안 하루 만에… 朴 대통령, 현금 2000만원·월급 20% 쾌척
입력 2015-09-17 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