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극단으로 치닫는 당 내홍 때문에 ‘야당의 무대’인 국정감사를 앞에 놓고도 당력을 집중하지 못하고 있다. 선거제도 개혁 논의 등 당 안팎 현안도 ‘올스톱’됐다. 9월 정기국회를 민생·상생·회생·공생 등 ‘4생(生) 국회’로 만들겠다던 초심은 간 데 없고, 주류 대 비주류의 ‘사생결단 국회’만 남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새정치연합은 국감 직전 논평을 통해 “(이번 국감은) 19대 국회의 마지막 국회로서 박근혜정부의 ‘무능’과 ‘실정’을 바로잡고 국민의 삶과 안전을 지키는 국감이 될 것”이라며 4생 국회를 선언했다. 당 차원에서 4생 국회라 적힌 파란색 배지를 만들어 배포하기도 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현역 의원들의 관심이 지역구 관리에 쏠려 일찌감치 ‘물 국감’ 우려가 제기됐지만, “그래도 이번에 제1야당의 존재감을 보여야 하지 않겠느냐”는 공감대도 있었다. 특히 정부·여당발(發) 노동개혁 시도를 저지하고 재벌개혁을 이슈화하겠다고 벼르기까지 했다.
하지만 문재인 대표가 국감 시작 바로 전날(9일) ‘재신임 승부수’를 던지면서 여론의 관심은 온통 당 내홍 쪽으로 쏠려버렸다. 주류와 비주류는 당 주도권을 놓고 한 치의 양보도 없는 계파싸움을 벌였고, 이 와중에 국감에 집중할 당의 동력은 흩어졌다. 문 대표가 지난 12일 “재신임 절차를 추석 전으로 연기하자”는 당 중진 의견을 수락하면서 대립이 잦아드는 듯했지만, 안철수 의원이 이에 반발하고 나섰다. 이종걸 원내대표도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재신임은 유신을 떠올리게 한다”는 발언으로 ‘휴전’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
지금까지의 국감 대부분을 당내 투쟁으로 허비한 새정치연합은 노사정위의 타협에 대해서도 대변인 논평 외에 특별한 입장을 내놓지 못했다. 당내 경제정의·노동민주화특위는 공식 회의도 열지 못했다. 새누리당이 국감 와중에도 노동개혁법안 마련을 위한 당정협의를 열고 정책 의원총회 소집을 예고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는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문 대표 재신임 문제로 당 지도부가 반쪽으로 나뉘면서 선거제도 개혁과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 인선 문제 등 당 안팎 현안 논의도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문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비례대표제에 대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의 담판도 무기한 연기했다. 14일에도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장 인선 의결이 최고위 안건으로 예정됐지만 문 대표가 최고위를 사실상 ‘보이콧’하면서 뒷전으로 밀렸다. 한 당직자는 “재신임 정국이 모든 현안을 다 집어삼켰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새정치 내홍] ‘야당의 잔치판’ 국정감사 맞아?… 초심 간 데 없고 주류-비주류 ‘사생결단’
입력 2015-09-15 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