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면적 2년새 반토막… 미래 먹거리 ‘친환경농업’ 미래가 없다

입력 2015-09-15 02:04
농자재 가격상승과 일손 부족, 인준절차 강화 등 3중고로 친환경농업을 포기하는 농업인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들해지는 친환경농업의 활로를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4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대표적 농도인 전남도의 경우 친환경인증면적이 2013년 6만7000㏊에서 지난해 4만700㏊에 이어 올 6월말 현재 3만4100㏊로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화학비료와 농약·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한 친환경인증면적이 불과 2년여 사이에 반토막 난 것이다. 전북과 제주·경북·강원지역 등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전북지역의 지난해 말 친환경 인증농가와 면적은 6018농가, 7180㏊로 2013년 7476농가 8667㏊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 제주지역 역시 2014년에 1195농가가 2602㏊에서 친환경농산물을 재배해 전체 3만8502 농가와 경지면적 6만2855㏊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3.1%, 4.1%에 불과했다.

경북지역 친환경농업 재배농가와 면적은 2009년 2만6610가구 2만3318㏊에서 2011년 2만2995가구 2만107㏊로, 2014년에는 1만4114가구 1만2402㏊로 매년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지역 친환경농법 참여농가도 2013년 5086농가에서 지난해 3653농가로 급감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친환경농업 재배면적은 전국적으로 2009년 20만1688㏊에서 지난해 10만46㏊로 크게 줄었다. 친환경 농업 참여농가도 같은 기간 19만8891호에서 8만5165호로 60% 가까이 감소했다.

반면 화학비료에 비해 약효가 떨어지는 유기질 비료와 친환경 농자재 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아 농가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쌀겨 등 식물성 유기질비료는 20㎏ 포대당 9000∼1만원, 가축분뇨가 주된 원료인 동물성 유기질 비료는 5000원선에 가격이 형성되고 있다. 2∼3년 사이에 20∼30%이상 오른 것이다. 벼 잡초제거에 많이 사용하는 왕우렁이도 1㎏당 1만원 안팎으로 가격이 인상됐다.

병해충 방제를 위한 목·죽초액도 1ℓ당 4000원선의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미흡한 유통체계와 까다로워진 인증절차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작목반과 영농법인을 만들어 대형 유통매장, 학교급식 등의 판로를 개척한 곳도 있지만 다품종 소량생산을 하는 대부분 영세 농가는 유통시장의 장벽에 막혀 친환경농업을 포기하고 있다.

정부는 2017년까지 무농약 이상 친환경 재배면적 비율을 10%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실현여부가 불투명하다. 지난해 말 친환경 재배면적은 전체의 5.8%에 불과하다.

전남도 관계자는 “판로나 소득은 신통치 않은데 생산비 부담은 해마다 늘어나 친환경농업에서 관행농업으로 돌아가는 농가가 속출하고 있다”며 “내년부터 저농약 인증이 폐지되고 무농약, 유기농 인증절차도 까다로워지는 만큼 특단의 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전국종합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