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결국 재신임 투표를 강행하면서 당이 ‘주류 대 비주류’로 반쪽씩 갈라지고 있다. 거기다 자신에게 불리한 ‘전 당원 투표’를 재신임 방식으로 제시해 문 대표는 향후 거취를 장담할 수 없게 됐다. 20대 총선을 7개월여 앞두고 새정치연합이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시계제로’의 상황에 빠진 것이다.
문 대표는 11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재신임 투표를 강행하겠다는 확고한 의사를 통보했다. 방식과 시기도 언급했다. 최고위원 대다수가 문 대표의 결정에 반발했다. 그러나 그는 “재신임 방식은 당헌·당규에 규정돼 있지 않아 대표의 정치적 행위로 결정될 수 있다”며 일축했다. “재신임을 재고해 달라”는 요청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한 당직자는 “혁신안이든 뭐든 아무리 노력해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가 돼 버리는 상황이라 다른 방법이 없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전했다. “가능한 한 빨리 분란과 소모적 논란을 정리하자는 의지의 표현”이라는 것이다. 이석현 국회부의장 등 당 중진 의원들이 중지를 모아 끝까지 설득했지만 포기하지 않은 이유다.
문 대표는 ‘전 당원 ARS 투표’를 재신임 방식에 포함시켰다. 지난 2·8전당대회 때 문 대표는 당원 투표에서 박지원 의원에게 패배했다. 국민 여론조사에서 약 28% 차이로 압도적 승리를 거둬 가까스로 당 대표에 오를 수 있었다. 주변에선 전 당원 투표를 재신임 방식에 포함시킨 것에 대해 우려를 전했지만 문 대표는 강행을 결정했다고 한다. 문 대표 측 인사는 “대표가 워낙 확고했다”며 “당내 모두가 승복하고 수긍하는 방식으로만 혼란을 불식시킬 수 있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했다.
문 대표가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선택하면서 제1야당이 한 치 앞도 가늠할 수 없는 안갯속으로 빠졌다는 말이 나온다. ‘불신임’ 가능성까지 고려해야 할 상황이 돼서다. 문 대표 측은 재신임에 성공하면 현 지도부를 그대로 유지한 채 더 강력한 ‘혁신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최고위원 대다수가 문 대표에 반발하고 나서면서 지도부 간 갈등이 오히려 격해졌다. 총선을 앞두고 당의 원심력은 강해지고 신당·분당론이 더욱 힘을 받게 될 공산이 크다. 불신임으로 결론이 나면 내년 총선을 준비할 비상대책위원회가 꾸려질 것으로 보인다. 비대위원장 자리를 놓고 치열한 ‘계파 전쟁’이 재연될 수 있다는 의미다.
당 비주류 측은 ‘문재인 불가론’에 이어 ‘재신임 무효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공식적인 당 기구를 거쳐 결정된 사안이 아닌 독단적인 사적 결단이라는 이유에서다. 비주류 측은 문 대표 재신임과 당의 총선 승리를 별개의 문제라고 보고 있다. ‘지지율 추락의 원인은 문 대표’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이다. 한 비주류 의원은 “(문 대표가) 재신임을 받는다고 해도 이후 상황이 통합으로 갈 수가 없다”며 “사퇴하고 조기 전당대회를 하는 게 해답”이라고 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불신임 불사’ 文 마이웨이… 새정치연합 시계제로
입력 2015-09-12 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