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와 정치권의 유착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새누리당 친이(親李)계 K의원과 관련된 포스코 협력업체 H사 역시 수주 특혜를 받았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다. 검찰은 포스코가 지역 정치권 유력인사들과 연결되는 외주업체에 기존 업체의 일감을 떼어주는 방식으로 사실상 불법 정치자금을 제공했다고 보고 있다. 검찰은 정준양(67) 전 포스코그룹 회장이 이를 주도한 것으로 보고 구속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조상준)는 10일 정 전 회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3차 소환해 이 같은 변칙적 정치자금 제공 의혹을 추궁했다. 기존 업체의 일감을 빼앗는 형태로 성장한 포스코 협력업체들을 면밀히 살펴온 검찰은 티엠테크, 이앤씨 외에도 외주업체 2∼3곳을 추가로 수사선상에 올렸다. 앞서 새누리당 이상득(80) 전 의원, 이병석(63·사진) 의원의 측근들이 소유·운영하던 티엠테크와 이앤씨를 압수수색해 포스코와의 뒷거래 의혹을 파헤치고 있다.
검찰은 포스코 협력업체 가운데 K의원과 관련된 특수화물 운송업체 H사에 대해서도 변칙적 특혜가 있었다는 첩보를 입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K의원은 2000∼2006년 H사 등기이사로 재직했고, K의원의 동생이 이 회사 대표이사다. H사는 포스코로부터 저금리 설비투자 자금지원을 받았고, 2006년 손실을 기록했지만 2007년 이후 흑자로 전환해 이익 폭을 꾸준히 늘렸다.
협력업체 수익이 의원들에게 흘러간 단서가 잡히면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게 검찰 판단이다. 검찰은 같은 꼴로 다수 발견되는 포스코의 특혜가 정 전 회장의 ‘보은’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그간 정치권에서는 2009년 정 전 회장으로의 포스코 회장 교체기에 ‘이명박정부 실세’들의 입김이 있었다는 의혹이 제기돼 왔다.
‘포스코 정상화’를 목표로 지난 3월부터 달려온 검찰은 마침내 정 전 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방침을 세우기에 이르렀다. 그간 재계뿐 아니라 국회에서도 검찰의 포스코 수사 장기화를 비난하는 의견이 많았다. 검찰이 환부만 도려내지 못해 포항 지역경제가 위축된다는 질타였다. 이병석 의원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앞장서 포스코를 두둔하고 검찰을 지적했다.
이 의원은 지난 4월 20일 황교안 당시 법무부 장관에게 “포스코 수사는 1년 지나 재탕하듯 한다”며 “수사가 어디까지 갈 겁니까”라고 따져 물었다. 7월 7일에는 김현웅 당시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게 “내가 아는 포스코는 시스템 자체가 교묘하게 돈 빼내는 기법이 동원되는 회사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포스코를 두둔했다. 그는 4월과 7월 법사위에서 포스코 수사를 겨냥해 “지리멸렬하다”는 말을 되풀이했다.
이런 그는 지인 한모(63)씨가 이앤씨를 통해 포스코로부터 특혜를 받은 정황이 포착되며 발언의 배경을 의심받게 됐다. 포스코와 이앤씨의 자금 흐름을 분석한 검찰은 이 의원이 한씨와 공모한 단서를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
‘포스코 일감 특혜’ 2∼3곳 추가 수사
입력 2015-09-11 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