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포털 뉴스의 미래에 대해 정치적 논쟁을 배제하고 철저히 사회적 책임이라는 측면에서 공론화가 이뤄져야 한다”며 ‘포털 정화(淨化)’ 필요성을 재차 거론했다.
인터넷 접속을 위해 거치는 ‘관문(portal)’인 인터넷 포털 사이트가 사실상 뉴스편집 기능까지 맡으면서 나타난 왜곡·편향성 문제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겠다는 것이다. 야당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부·여당에 비판적인 인터넷 기사를 통제하려는 ‘포털 길들이기’라며 강력 비판했다.
김 대표는 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국민의 80%가 포털을 통해 뉴스를 소비한다. 특히 젊은층의 포털 의존도는 절대적”이라며 “왜곡·편향·과장된 뉴스 등 포털 뉴스의 중립성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포털은 단순한 전달자 역할을 넘어 언론사와 기사를 선택하고 제목까지 수정하는 등 사실상 새로운 유형의 언론”이라며 “기존 언론보다 훨씬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했다.
포털의 상업주의, 사생활 침해 등을 언급하면서는 “한계를 넘은 상태”라고 했다. 김 대표는 “뉴스를 기반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네이버, 다음은 시가총액이 높다”며 “이처럼 큰 권익을 누리는 만큼 사회를 향한 책임도 같이 져야 한다”고 했다.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선 포털에 ‘좀비 언론’이 상당히 많다면서 “너무 편향적”이라고도 했다.
새누리당은 포털 사이트 운영사 대표들에 대한 국감 증인 채택도 추진 중이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인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이번 국정감사에서 포털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와 어뷰징(Abusing·동일 또는 유사 기사의 반복 전송) 문제를 다루겠다고 했다. 홍 의원은 “(포털에서 실시간 검색어를 정하는 규칙인) 알고리즘을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새누리당이 신문, 방송에 이어 대형 포털 사이트 재갈 물리기에 노골적으로 나섰다”고 했다.
업계도 반발했다. 네이버의 뉴스편집 관련 외부 자문기구인 네이버뉴스 편집자문위원회는 “(뉴스 편향성 문제를 지적한 새누리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의) 보고서가 객관적·과학적 방법에 의해 작성됐는지 현재로서는 확인이 어렵다”고 했다. 다음카카오는 지난 6월부터 이용자가 좋아하는 콘텐츠에 대한 반응을 반영해 맞춤형 콘텐츠를 자동 추천하는 시스템을 뉴스 서비스에 도입했다는 입장을 내놨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김무성 “포털 정화” 거듭 거론… “포털뉴스 편향성 심각… 사회적 책임 공론화해야”
입력 2015-09-10 0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