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9일 기자회견으로 당 대표 재신임 여부와 혁신안의 당 중앙위원회 통과 가능성에 관심이 쏠린다.
문 대표는 재신임 절차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앞으로 당과 논의해서 결정하겠다”며 “우리 당 기초선거 정당공천 (여부를) 결정할 때 했던 방법과 같은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지 않나”고 말했다.
지난해 4월 김한길·안철수 당시 공동대표는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를 두고 일반국민 여론조사 50%와 권리당원 투표 50%로 결정한 바 있다. 이 투표에서 기초선거 정당공천 의견이 높게 나오면서 새정치연합은 ‘기초선거 정당공천 폐지’라는 애초의 공약을 뒤집었다. 여론조사 문구를 두고서 찬성 측과 반대 측이 서로 팽팽하게 맞서면서 당내 갈등이 일어나기까지 했다.
문 대표는 혁신안 처리를 위해 16일 개최되는 중앙위원회 이전이라도 재신임 절차를 거치자는 뜻도 피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이번 주말쯤 재신임을 묻는 조사를 실시한 뒤 중앙위원회가 끝난 뒤 결과를 발표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중앙위원회에서는 혁신안이 통과될 것이라는 의견이 다소 우세하다. 당 관계자는 “지금까지 당무위에서 통과된 안이 중앙위에서 통과 안 된 걸 거의 볼 수 없었다”며 “당무위에서 진통을 겪고 통과됐기 때문에 부결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예상했다. 비노(비노무현)계의 한 인사도 “중앙위원도 친노(친노무현) 진영이 다소 많다”며 “문 대표가 중앙위 통과 여부에 당 대표직을 걸었기 때문에 이미 표 계산을 끝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원외 인사들이 어떤 입장을 보일지도 변수다. 혁신안을 비판한 새정치연합 박정 원외협의회장은 “당무위에서 국민경선단 100%로 확정한 게 아니라 여러 단서조항으로 다른 가능성을 열어 뒀기 때문에 그것을 놓고 다시 원외위원장들 간에 의견 개진을 한 뒤 입장을 정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중앙위원회는 전국대의원대회의 권한을 위임받은 기구로 당 대표, 최고위원, 원내대표, 본부장 등 576명으로 구성됐다. 중앙위원회에는 국회의원뿐만 아니라 당 소속 시·도지사와 시·도의회 의장, 그리고 시·도당위원장과 지역위원장 등이 포함돼 있다.
임성수 고승혁 기자 joylss@kmib.co.kr
‘뜨거운 감자’ 떠오른 文 재신임… 작년 ‘기초선거 정당공천’처럼?
입력 2015-09-10 03: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