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내·외국인 근로자 임금 격차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국 중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OECD는 9일 ‘2015 고용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에서 내국인 근로자의 임금은 외국인 근로자의 1.55배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는 조사 대상 22개국 중 가장 높은 것이다. 이탈리아와 스페인이 각각 1.32배, 1.31배로 뒤를 이었다.
반대로 슬로바키아(1.03배), 캐나다(1.03배) 등은 내국인과 외국인의 임금 격차가 거의 없었다. 폴란드(0.63배)와 일본(0.64)의 경우 내국인보다 외국인이 더 많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이는 두 나라에서 임금을 받는 외국인 근로자 수가 워낙 적기 때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내국인 근로자가 외국인보다 15.1% 더 많은 임금을 받았다. 특히 임금 격차의 72%는 기술 차이에서 발생했다. 내국인과 외국인이 보유한 기술 수준이 고르다면 임금 격차가 줄어들 수 있다는 뜻이다. 한국도 내·외국인 근로자 사이의 기술 차이가 없어질 경우 임금 격차는 1.36배 수준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기에 기술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보상한다면 격차는 1.21배로 더 좁혀지게 된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한숨 나는 양극화] 내외국인 임금 격차 OECD 1위
입력 2015-09-10 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