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 시기·장소 南·北, 상당한 의견 접근

입력 2015-09-08 03:25
남북 적십자 대표단이 7일 경기도 파주시 판문점 '평화의집'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을 갖기 전 서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오른쪽 가운데는 우리 측 수석대표인 이덕행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 이 위원과 손을 잡은 사람은 북측 수석대표인 박용일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 통일부 제공

남북이 추석을 전후로 금강산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개최하자는 데 상당한 의견 접근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7일 오전 10시50분쯤 판문점 우리 측 구역의 ‘평화의집’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논의하기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 전체회의를 갖고 이같이 의견 접근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10시에 시작될 예정이었지만 실무적 절차 문제로 이견이 생겨 50분간 회의가 지연됐다. 양측 대표단은 3명씩으로, 우리 측에선 이덕행 대한적십자사 실행위원(통일부 통일정책협력관)이, 북측은 박용일 조선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중앙위원이 수석대표로 참석했다. 이 위원은 실무접촉에 앞서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모든 분의 기대와 염원에 부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남북은 이번 이산가족 상봉의 일시와 장소, 규모 등을 우선적으로 논의했다. 형식적인 행사 준비 과정에 대해선 과거 사례를 준용해 의견차를 좁힌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우리 정부가 요청한 행사 조기 개최와 전면적인 생사확인, 상봉 정례화 등을 두고는 견해차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현실적인 한계 등을 이유로 일부 사안에 대해 난색을 표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은 2013년 8월 23일 이후 2년여 만이다. 당시 양측은 같은 해 9월 25일부터 5일간 금강산에서 각 100여명 규모로 상봉 행사를 열고, 연내 한 차례 더 행사를 추진하며, 상봉 정례화를 위한 공동 노력 등을 명시하는 내용의 합의서를 작성했다.

그러나 북한은 행사 나흘 전 일방적으로 연기를 선언, 이산가족 상봉은 결국 5개월이나 지난 2014년 2월 한 차례 개최되는 데 그쳤다. 정부 당국자는 “이번 행사뿐 아니라 향후 근본적인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준비를 많이 했다”고 말했다.

강준구 문동성 기자 eyes@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