産銀, 대우조선 관리 구멍… 2년간 중요 이사회 빼먹어

입력 2015-09-08 02:46

대우조선해양 최대주주인 KDB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이사회에 3번 중 1번꼴로 불참해 관리 책임을 저버렸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2분기 3조원대 영업손실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 또 이명박정부 때부터 현 정부에 이르기까지 선임된 대우조선해양 사외이사 중 다수는 정관계 출신 ‘낙하산’ 인사인 것으로 드러났다.

7일 새누리당 이운룡 의원이 금융감독원과 산은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대우조선해양 비상무이사로 감사위원회 위원이자 이사회 멤버인 산은 기업금융4실장은 2012년부터 지난 7월까지 43차례 열린 이사회에 28차례(65.1%)만 참석했다. 감사위 참석률도 63.3%에 불과했다. 경영진을 견제하고 경영 시스템을 개선해야 할 책무를 소홀히 한 셈이다. 특히 지난해 2월과 지난 3월 전년도 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 승인 등 경영상태와 관련해 열린 회의에는 모두 불참했다. 해양플랜트 사업과 관련해 조선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커지던 시기다. 이에 대해 산은 관계자는 “기업금융4실장 겸직에 따른 현실적 제약으로 참석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며 “사전검토 의견을 회사에 전달해 이사 및 감사위원으로서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려고 노력했다”고 해명했다.

산은이 대우조선해양 실적이 부진할 것이란 예상을 해왔으면서도 대처를 못했다는 의혹도 있다. 산은은 2010∼2013년 대우조선해양의 주가 상승률을 10% 포인트 이상(동종업계 대비)으로 예상했지만 지난해엔 5% 포인트 이상으로 낮춰 잡았다. 산은은 대우조선해양 부사장 겸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자사 출신을 선임했으면서도 사전에 대규모 부실을 몰랐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기식 의원은 2008년 3월 이후 대우조선해양에 임명된 사외이사를 분석한 결과 신규 임명된 사외이사 18명 중 12명이 정관계 출신의 낙하산 인사라고 주장했다. 이명박정부에서 임명된 사외이사로는 안세영 뉴라이트 정책위원장, 김영 전 한나라당 부산시당 대선 선거대책본부 고문 등이 있다. 특히 성추행 의혹으로 경질된 현 정부 초대 청와대 대변인 윤창중씨도 이 시기 사외이사를 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박근혜정부 출범 후 임명된 사외이사로는 전교조 명단 공개로 법적공방 중인 조전혁 전 국회의원, 이영배 인천시장 보좌관 등이 있다.

김 의원은 “공적자금을 투입한 정부가 주인인 기업이라는 점을 악용해 이명박·박근혜정부가 조선 분야에 전문성도 없고 업무에 문외한인 정치권 출신 낙하산을 논공행상식으로 투입했다”고 비판했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