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역할, 교과서 ‘2차 개정시안’서도 빠졌다

입력 2015-09-08 00:02

교육부와 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교과교육과정연구팀이 지난 2일 ‘2015 개정 교육과정 2차 공청회’에서 발표한 역사교과 등의 시안에 기독교(개신교) 관련 서술이 여전히 부실한 것으로 밝혀져 교계의 공분을 사고 있다.

지난 5월 1차 시안 발표 후 ‘한국교회 역사교과서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가 “개신교는 한국의 근대화와 민주화, 독립운동 등에서 주도적 역할을 했지만 교과서에 제대로 소개되지 않고 있다”며 개신교 관련 내용을 강화해야 한다고 수차례 요청했지만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 대책위에는 한국기독교총연합회(대표회장 이영훈 목사)와 한국교회연합(대표회장 양병희 목사)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역사신학자들이 전문위원으로 동참하고 있다.

먼저 중학교 역사교과 시안을 보면 전근대시기 종교의 역할은 많이 언급된 반면 개신교가 유입된 근현대시기 종교에 대해선 언급이 거의 없었다. 예를 들어 개화 관련 대목에는 ‘개화정책의 추진과정에서 나타난 갈등을 이해하고,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에서 지향했던 새로운 사회를 구체적인 개혁안을 통해 비교한다’고만 돼 있다. 대책위는 이 대목에서 근대사회 종교의 변화를 제대로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책위 전문위원 박명수 서울신대 교수는 “개항 이후 한국사회에 들어와 서구문명을 전파한 개신교를 언급하지 않는 것은 문제”라며 “이 부분에는 반드시 ‘개신교의 수용’이라는 문구가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중학교 역사교과의 중요한 목표가 한국사와 세계사를 연계해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라며 “개신교는 서양 문명과 한국사회를 연결한 가장 분명한 연결고리로 한국의 근대화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고 말했다.

고교 한국사 교육과정 시안에선 삼국시대 부분을 ‘고대국가의 발전’으로 떼어 확대하는 대신 전근대사와 근현대사 분량을 기존 5대 5에서 6대 4로 조절해 근현대사의 분량을 줄이도록 했다. 또 전근대사에 등장한 종교인 불교, 도교, 유교, 풍수지리설에 대해서는 그 역할을 인정하고 서술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근현대사에는 종교 관련 언급이 적은 편이며 서학(천주교)과 동학에 대한 내용은 있는 반면 개신교와 관련된 언급은 없다.

박 교수는 “한국사회는 개신교를 통해 민주주의, 남녀평등, 근대과학, 노동의 가치 등 많은 것을 배웠고, 이는 근대 대한민국의 뿌리가 됐다”며 “개항 이후 기독교의 수용을 역사교육과정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책위는 이달 말로 예정된 최종 개정안 확정·고시에 앞서 정부와 관련기관에 ‘개정시안에 대한 한국 기독교의 제안’등을 담은 공문을 보낼 예정이다. 대책위 관계자는 “역사교과에 개신교 관련 내용이 충분히 포함돼야 함을 다시 한 번 강조할 것”이라며 “한국교회의 기도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사야 기자 Isaia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