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지자체들이 톡톡 튀는 생활밀착형 행정을 펼쳐 눈길을 끌고 있다. 딱딱한 관공서의 문턱을 낮추고 주민들의 삶 속으로 파고들어야 ‘민심’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광주시는 “오는 11일 전국에서 처음으로 ‘마을분쟁 해결센터’의 문을 연다”고 7일 밝혔다. 지난 3월 김주현 광주지방법원장이 윤장현 광주시장에게 제안해 개설되는 이 센터는 변호사, 법학교수, 법무사 등 25명의 법률 전문가들이 분쟁해결 조정인으로 참여한다. 이들은 아파트 층간소음과 골목길 주차분쟁, 쓰레기 투기, 악취 문제 등 이웃 간 사소한 갈등과 분쟁을 당사자들이 자율적으로 해결하는 데 중재 역할을 하게 된다.
시는 생활분쟁이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해결되고 모든 것을 법에만 의존하려는 ‘사법 만능주의’를 줄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광주 광산구는 지난달 26일 광주여자대학과 업무협약을 맺고 이달부터 ‘청춘 경로당’ 운영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젊은 대학생들과 노인들이 세대간 벽을 허문 청춘경로당에는 대체의학과, 간호학과, 작업치료학과 등 8개 학과 대학생들이 동참했다.
청춘경로당은 대학생들이 각자 전공을 살려 물리치료와 치매검사 등을 통해 할아버지 할머니의 신체·정신 건강을 보살피고 노인들은 김치 된장 고추장 담그기와 장아찌 만들기 비법 등 다양한 삶의 경험을 손자뻘 젊은이들에게 전수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대학생과 노인들이 고령화 사회에 맞춰 상호 재능기부를 하는 셈이다.
대전시는 이달부터 다문화 가족들에게 민·관 협력으로 한국 이름 작명 및 개명 원스톱 무료 서비스를 해주고 있다. 명리학을 공부한 퇴직공무원 3명을 재능기부자로 위촉, 한국 이름을 지어주고 수수료 지원 등 가정법원 개명허가 절차를 도맡아주고 있다.
인천시도 외국인 이주민을 위해 나섰다. 시는 최근 한국 고유문화와 출입국 절차, 교통망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가 담긴 ‘인천생활가이드북’을 한국어와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4개 국어로 발간해 지역사회 정착에 도움을 주고 있다.
울산시는 장애인과 노인, 어린이 등 교통약자들의 보행 불편을 덜어주기 위해 향후 5년 이내에 도심지 육교를 모두 철거할 방침이다. 시는 초등학교 앞에 설치된 육교부터 우선 철거한다. 현재 관리 중인 도심지 육교14개를 2019년까지 모두 없애고 횡단보도로 대체할 계획이다. 용인시와 세종 순천 밀양 양산시 등 5개 지자체는 주민들이 전화와 인터넷으로 예약할 경우 대형 폐가구를 집까지 찾아와 수거해가는 제도를 도입했다. 앞서 전국 대부분 지자체들은 2012년부터 냉장고 세탁기 등 폐가전제품을 문전 수거해 재활용센터에 전달하는 제도를 시행 중이다.광주=장선욱 기자, 전국종합
swjang@kmib.co.kr
민심 얻고 분쟁 막고 생활밀착 행정 큰 호응… 광주시 마을분쟁해결센터
입력 2015-09-08 0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