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정상회담을 마치고 귀국한 박근혜 대통령은 집권 후반기를 맞아 ‘통일’과 ‘평화’를 키워드로 한 대외 행보에 한층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2월 박 대통령의 이른바 ‘통일대박론’ 천명 이후 한동안 정체됐던 관련 논의를 미국 중국 등 한반도 주변국들과 진행하면서 지지를 얻는 수순이다. 특히 박 대통령의 ‘통일’을 매개로 한 외교 행보는 다음달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과 10월 말∼11월 초 열릴 것으로 보이는 한·중·일 3국 정상회의, 이어지는 다자정상 외교무대에서도 계속될 전망이다.
우선 박 대통령이 강조한 한반도 평화통일 논의의 1차 파트너는 중국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4일 귀국길 전용기 내 기자간담회에서 “(중국과) 가능한 한 조속한 시일 내에 한반도 평화통일을 어떻게 이뤄나갈 것인가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국가인 중국을 상대로 평화통일 기반 구축을 위한 ‘터 닦기’에 나서겠다는 의미다.
이런 측면에서 북한의 태도변화 등을 이끌 한·중 대화 채널 역시 앞으로 활성화될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6일 “새로운 채널보다는 기존에 있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자주 관련 논의를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중 간 4개 전략대화 채널은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대화, 2+2(한·중 외교부와 국방부 국장·부국장급) 외교안보 대화, 국책연구기관 합동전략 대화, 정당 간 정책 대화 등이다.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간 대화 채널은 2013년 6월 박 대통령의 중국 국빈방문을 계기로 신설된 이후 그해 11월 서울에서 한 차례 열린 바 있다.
박 대통령이 10월 중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진행할 한·미 정상회담도 한반도 통일 논의의 중요한 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정상회담은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 변화 등이 핵심 의제인 만큼 통일 논의는 자연스럽게 다뤄질 수밖에 없다.
박 대통령은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국과 하반기 이어지는 다자 정상회의를 통해 한반도 통일이 동북아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해당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도 상당하다는 점을 핵심 논리로 삼아 향후 다각적인 외교 노력을 펼칠 예정이다. 조태열 외교부 2차관도 한 방송에서 한·중 정상회담에 대해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과의) 전략적 대화와 소통의 폭이 넓어졌다”며 “한·중 정상회담이 하반기 외교 로드맵의 시동을 건 의미가 있고, 하반기에는 우리 외교가 상당히 탄력을 받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이슈분석] 韓·中 정상회담 후 후반기 대외정책은… 朴 ‘통일·평화’ 新외교 속도 낸다
입력 2015-09-07 0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