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파워 반도체 상용화 사업’ 다시 주목… 산업부, 타당성 재조사 신청

입력 2015-09-07 02:17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내 파워(전력) 반도체(Power Management IC)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부산시의 ‘파워반도체 상용화 사업’이 다시 제기될 전망이다.

부산시에 따르면 산업부는 최근 파워 반도체 상용화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재조사를 기획재정부에 신청했다고 6일 밝혔다.

파워 반도체란 여러 IC의 전압과 화면 상태 등을 복합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파워 반도체 상용화 사업은 신재생 에너지의 부상, 파워 반도체의 첨단화 추세에 대응하고 국내 파워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차세대 먹거리로 주목받는 파워 반도체 산업은 각국이 경쟁력 우위를 선점하고자 각축전을 벌이는 산업이기도 하다. 부산시는 기장군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산업단지’에 산업부와 부산시는 국비와 시비, 민자 등 2092억원을 들여 3만3000㎡의 부지에 탄화규소(SiC), 질화갈륨(GaN) 등 화합물 파워 반도체 기술 개발을 위한 시험생산지원센터, 신뢰성 평가분석센터, 창업보육센터 등 기반 구축사업을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은 2013년 7월 대통령 지역공약 사업으로 선정돼 본격화됐지만, 지난해 11월 시장수요 기반이 미약하다는 이유로 기재부의 예비타당성 대상사업에서 제외돼 한때 좌초위기를 맞기도 했다.

하지만, 올해 5월 현대차와 르노삼성차 등 최종 수요기업의 사업 참여 확약과 파워 반도체 협회 출범을 계기로 산업부가 재차 기재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신청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