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밀월시대] “中, 한반도 긴장 고조시키는 도발 절대 반대”

입력 2015-09-05 04:07
박근혜 대통령이 4일 중국 방문 일정을 마치고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해 환영 나온 현기환 청와대 정무수석과 악수하고 있다.서울공항=서영희 기자

한·중 정상회담,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 참석 등 2박3일의 숨 가쁜 외교일정을 소화한 박근혜 대통령이 4일 오후 대통령 전용기 내에서 중국과의 다양한 한반도 평화통일 논의 방침을 천명했다. 그동안 기본적인 구상 또는 낮은 단계에만 머물러 왔던 한반도 통일 논의를 이제부터 중국 측과 본격화하겠다는 의미다. 지난해 2월 ‘통일대박론’, 3월 ‘드레스덴 선언’ 등 박 대통령의 통일 구상이 최근 중국의 ‘건설적 역할론’과 맞물려 한·중 논의를 통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을지도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 출입기자들과의 기내 간담회를 통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의 지난 2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평화통일과 관련한 심도 있는 여러 논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발언 곳곳에서 자신감이 묻어났다.

특히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평화통일’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의 궁극적이고 근본적인 방법이라는 점도 제시했다. 북핵 문제와 장거리 미사일 발사, 그 밖의 무력도발 위협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방법은 ‘평화통일’이며, 이것이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지켜 나가는 유일한 방안이라는 의미다. 박 대통령은 “(중국이)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어떤 도발에 대해 절대로 인정하지 않고 반대한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또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국가인 중국을 평화통일 논의의 파트너로 삼아 협력하겠다는 뜻이기도 하다. 박 대통령은 귀국 전 상하이 시내 호텔에서 열린 동포 오찬간담회에서도 “과거 독일 통일의 사례에서도 보았듯이 우리가 통일을 하려면 주변국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며 “특히 북한의 올바른 변화를 이끌어내는 데에는 중국이 중요한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이번 방중으로 통일에 몇 발짝 가까워졌다고 생각하면 되느냐’는 질문에는 “통일은 남북만의 문제가 아니고 주변국, 나아가 세계도 암묵적으로 이것은 좋은 일이라고 동의해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중국이 우리 정부의 통일논의 구상에 전적으로 동의하는지는 현재로선 불투명하다. 박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중국 측에 “한반도가 분단 70년을 맞아 조속히 평화롭게 통일되는 것이 이 지역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속한’이라는 표현을 처음 사용해 통일 논의에 대한 우리 측의 의지를 분명히 했지만, 중국은 “한반도가 장래에 한민족에 의해 평화적으로 통일되는 것을 지지했다”며 기본입장을 재확인하는 데 그쳤다.

박 대통령은 간담회에서 시 주석과 10월 말∼11월 초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를 합의한 과정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일본이 아직도 역사인식에 대해서 전향적인 자세를 갖고 있지 않은 상황이지만 동북아 평화를 위해서는 대승적 차원에서 임할 필요가 있다고 제의해서 시 주석께서 거기에 동의를 하신 것”이라고 말했다.

경제 성과에 대해선 “여러 가지로 좋은 결과가 있었는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효과가 극대화되기 위해선 어쨌든 빨리 비준이 돼야 한다”며 “자꾸 늦으면 늦을수록 그만큼 효과를 못 보고 손해가 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또 한·중 문화협력을 통한 제3시장 공동진출 방안에 대해선 “리커창 총리는 문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분야도 한·중의 장점을 결합해 제3시장에 같이 진출하자는 적극적인 얘기를 했다”고 소개했다.

상하이=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