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4일 “북핵 문제를 포함해 긴장상태가 끊임없이 계속되는 이런 모든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 그 귀결점은 평화통일”이라며 “(중국과)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에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어떻게 이뤄갈 것인가에 대해서 다양한 논의가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핵 문제나 이런 것을 모두 해결하는 궁극적이고 확실한 가장 빠른 방법도 평화통일”이라며 “그래서 앞으로 한반도의 평화통일을 위해서 중국과 같이 협력해 나가기로 이야기가 됐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2박3일간의 중국 방문을 마치고 귀국하는 대통령 전용기 내에서 가진 동행 취재진과의 간담회에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번에 시 주석과 여러 다양한 이슈에 대해 심도 있는 협의를 했다”며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지켜 나가는 데 있어 중국과 어떻게 협력을 해 나갈 것인가가 가장 중점적으로 얘기되고 다뤄졌던 문제”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의 언급은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와 안정을 위해 앞으로 중국과 여러 레벨에서 본격적인 통일기반 구축 논의에 들어가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또 “이번 북한 도발과 관련해 (중국과) 소통하면서 협력했듯이 앞으로도 협력해 나가자는 게 정부의 의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번 지뢰도발 사건도 있었지만 앞으로 핵실험, 또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도발을 예상할 수 있는데 그런 것을 억제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앞서 중국 내 항일독립항쟁의 심장이었던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 재개관식에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상하이 임시정부는 1919년 3·1운동의 결과로 수립된 국내외 8개의 임시정부가 하나로 통합을 이뤄 우리의 독립운동을 주도했던 민족사적 의미를 지닌 곳”이라며 “우리 정부는 앞으로도 중국 측과 협조해 중국 내 독립항쟁 유적의 보전과 관리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정부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중국 정부와 협력해 상하이 임시정부 청사의 낡은 전시물을 교체하고 안내문 확충, 바닥과 벽면 도장 등의 재정비 작업을 진행해 왔다. 박 대통령은 귀국에 앞서 동포 오찬간담회, 한·중 양국 기업인 등 400여명이 함께하는 한·중 비즈니스포럼 참석 일정도 소화했다.
상하이=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박 대통령 “평화통일, 中과 다양한 논의 할 것”
입력 2015-09-05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