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밀월 재확인… 한·미·일 공조 다시 집중

입력 2015-09-05 04:01

박근혜 대통령의 2박3일 방중을 계기로 동북아시아의 외교 지형도 재편이 불가피해졌다. ‘한·미·일 대 북·중·러’라는 ‘신(新)냉전’ 구도로 향하던 구심력이 약화됨에 따라 북핵 문제 등 각종 현안에서 한국이 주도적으로 외교적 입지를 넓힐 가능성이 열리게 됐다.

박 대통령의 이번 방중으로 한·중 양국은 밀월 관계임을 재확인했다. 특히 미국의 동맹국 중에서 정상이 전승절에 참석한 국가는 한국이 유일하다. 우리 입장에서는 한·미동맹 및 한·미·일 삼각공조가 약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무릅쓴 선택이었다.

중국 측은 한국의 이 같은 선택에 대해 박 대통령을 특별 예우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우선 지난 2일 박 대통령이 베이징에 도착하자마자 공식 서열 1·2위인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 리커창(李克强) 총리와의 연쇄회담이 진행됐다. 시 주석은 박 대통령을 특별 단독 오찬 자리에 초대하기도 했다.

시 주석이 “박 대통령을 잘 모시라”고 수차례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박 대통령을 위한 별도의 영접팀과 전용 대기실을 마련해줬다. 전승절 열병식에서는 시 주석의 오른쪽 두 번째이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옆에 박 대통령 자리를 배정해 중국이 한·중 관계를 중시하고 있음을 대외에 표출했다.

전승절 참석으로 한·중 관계를 최상으로 끌어올린 우리 정부는 이제 대북 압박의 다른 축인 한·미·일 공조에 집중할 전망이다. 우선 다음달 중순 박 대통령의 방미를 계기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 이를 계기로 양국 정부는 한·미동맹의 공고함을 재확인하고 북핵 문제와 관련된 논의를 할 것으로 보인다.

한·중·일 정상회의 또한 중요 관전 포인트다. 그간 우리 정부는 올해 안에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하고자 노력했으나 중국이 미적지근한 반응을 보여 왔다. 박 대통령의 방중으로 중국의 참여 약속을 받아냄에 따라 3국 정상회의 개최가 급물살을 타게 됐다. 특히 회의를 계기로 아베 신조(安倍晉三) 일본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양국 관계가 반전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와 관련, 아베 총리는 4일 요미우리TV 프로그램에 출연해 “(한·일) 정상회담을 꼭 하고 싶다”면서 “이웃나라로서 문제가 있을수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같은 날 마이니치신문은 한국 정부가 10월 31일 또는 11월 1일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방안을 중국과 일본에 타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