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승주 국방부 차관은 4일 주한미군 탄저균 배달 사고와 관련해 “지금까지 기술로는 완전한 살균화 작업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심각한 문제라는 게 (현재) 미 국무부의 평가”라며 “(처음에는) 살균화 처리가 완전하다는 미국의 판단을 믿었다”고 말했다.
지난 5월 미군 오산공군기지에 반입된 탄저균이 살균샘플 상태라서 안전하다는 기존 입장을 사실상 번복한 셈이다. 미국 국방부는 지난달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8개국 193곳에 비활성화되지 않은 탄저균을 오배송한 사실을 공식 발표한 바 있다.
백 차관은 새정치민주연합의 ‘주한미군 탄저균 비밀반입사건 대책위원회’ 4차 회의에 출석해 이같이 밝히며 “미 국무부에서도 완전한 살균이 기술적으로 되지 않았다는 표현을 쓴다”고 말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또 탄저균 해동실험은 애초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한 차례가 아니라 두 차례였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5월 21일에 있었던 1차 실험은 담당 전문가가 실시했고, 5일 뒤인 26일에는 향후 실험을 수행할 인력이 참여한 가운데 시연 성격으로 2차 실험이 이뤄졌다는 것이다. 해동실험 참가자가 탄저균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추가로 있는 셈이지만, 실제로 피해자가 있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회의에서 국방부는 폐기 과정과 결과의 안전성에 대해 미국과 협의해 추후 발표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새정치연합 의원들은 회의에서 탄저균 노출 후 예방조치를 받은 사람이 22명이었으나 미 국방부가 최종 조사결과를 발표하면서 21명이 조치를 받았다고 밝힌 것을 언급하며 이유를 추궁했다. 이밖에 실험실 제독과 실험요원에 대한 예방조치, 공기포집 검사, 실험실 폐쇄 등 4단계 조치를 취한 것이 공기 중에 탄저균이 노출됐기 때문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는 이달 중 미국 측으로부터 답변을 받는 대로 의혹에 대해 설명하고 재발방지 대책을 함께 발표할 계획이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국방 차관 “美 탄저균 안전 심각한 문제”
입력 2015-09-05 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