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이비 인터넷언론 자정 유도 포털이 책임져라

입력 2015-09-05 00:30
인터넷 사이비언론을 척결하려는 움직임이 입법 청원으로까지 이어졌다. 광고주 단체는 3일 국회와 문화체육관광부에 포털의 뉴스서비스 개선을 위한 법률 마련을 청원했다. 사이비언론의 폐해를 막기 위해선 포털의 법적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취지다.

광고주들은 “수많은 인터넷 언론사가 포털의 뉴스 유통 구조 속에서 유사 언론 행위와 뉴스 어뷰징(같은 내용의 기사 반복 전송) 등으로 인터넷 언론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언론 아닌 언론 권력’으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해온 네이버 등 대형 포털은 그동안 사이비언론의 숙주 노릇을 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 왔다. 사이비언론들은 기업들을 상대로 확인되지 않은 소문 등을 기사화해 포털에 올리겠다고 협박하거나 포털에서 기사를 빼주는 조건으로 돈과 광고를 뜯어내는 사례가 빈번했다.

이런 사이비언론의 적폐는 포털의 무분별한 뉴스 제휴 확대에 기인한다는 지적이 많다. 네이버의 검색 제휴 매체는 최근 450여개, 다음카카오는 1100여개에 달할 정도로 급속도로 늘고 있는 추세다. 포털들은 실질적인 언론 역할을 톡톡히 해왔음에도 언론사로서 져야 할 책임은 방기해 왔다. 비난이 쇄도하자 ‘공개형 뉴스 제휴 평가위원회’를 설립하겠다고 했지만 ‘책임 떠넘기기’에 불과했다.

사이비언론의 폐단과 포털의 무책임성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난 만큼 특단의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 대형 포털은 공공재적 성격이 강한 만큼 국민에게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 검색 제휴를 맺을 때 그 매체의 현황, 기사의 품질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사이비언론의 진입을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 정부와 국회도 포털이 사회적 책임감을 갖고 인터넷 언론 생태계 개선에 나설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줘야 한다. 그래야 건전한 언론 풍토가 조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