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솟구치는 대통령 지지도, 과제도 덩달아 늘어

입력 2015-09-05 00:40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국민 지지도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한국갤럽 여론조사에 따르면 최근 10일 만에 34%에서 무려 54%로 솟구쳤다. 50% 선을 확보한 것은 지난해 4월 세월호 참사 이후 처음이다. 북한 도발 수습 과정에서의 원칙적 대응과 중국 전승절 행사 참석으로 자주외교에 시동을 걸었다는 점이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 지지도가 50%를 넘으면 국정운영에 탄력이 붙는다는 점에서 청와대로서는 여간 다행한 일이 아니다. 그렇다고 지금 잔치를 벌이는 것은 금물이다. 지지도가 급상승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성과는 아직 거의 없기 때문이다. 대통령 지지도는 가변성이 커 언제 또 폭락할지 모른다.

정부가 북한 지뢰도발에 따른 군사적 긴장을 슬기롭게 해소한 것은 당연히 긍정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하지만 그것은 원상회복일 뿐이다. 남북이 합의한 이산가족 상봉, 당국자 회담 재개, 교류협력 확대 등은 북이 제동 걸려고 마음먹으면 당장에라도 가능하다. 새롭게 조성된 남북 간 화해협력 분위기를 우리가 차분하게 잘 관리해야 하는 이유다. 8·25 남북합의에 대해 우리가 완승을 거둔 것처럼 홍보해 북을 자극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다. 대통령과 책임 있는 당국자들이 북을 포용할 수 있는 자세를 보여야 대화 분위기를 지속시킬 수 있다.

박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참석이 우리의 실용외교 지평을 넓힌 것은 분명하지만 자칫 한·미동맹을 이완시킬 수 있다는 점을 각별히 유념해야 한다. 한반도 안보의 열쇠를 쥐고 있는 미국이 우리를 조금이라도 오해할 경우 득보다 실이 더 커질 수 있다. 다음달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이 좋은 결실을 거둘 수 있도록 외교력을 집중하지 않으면 안 된다. 내치에서는 4대 개혁을 조기에 완결 짓고 침체 국면인 경제를 활성화시켜야 하는 막중한 책무를 안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대국민 소통 강화로 국론을 결집시킬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