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2일 정상회담에 대해 일본과 중국 언론들도 비중 있게 소개했다.
NHK방송 등 일본 언론들은 양국 정상이 올 10월 말∼11월 초 사이에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한국에서 개최하기로 한 것을 중점적으로 보도했다. NHK의 취재에 응한 일본 정부 관계자는 “연내 (한·중·일 3국 정상회의) 조기 개최 목표를 일관되게 추진해 왔기 때문에 긍정적인 메시지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말했다.
교도통신 등 일본 언론들은 회담에 앞서 “중국을 향한 한국의 접근이 한층 선명해진 모양새”라며 경계심을 감추지 않았다. 통신은 또 박 대통령이 3일 열리는 열병식을 참관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 “대중(對中) 관계를 대미(對美) 관계보다 아래에 두지 않을 것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것”이라고 평가했다. 일본에서는 최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중국 전승절 행사에 불참하면서 중·일 정상회담이 불발된 만큼 한·중 밀착으로 인해 좁아질 일본의 외교적 입지를 우려하는 목소리와 함께 ‘한국의 중국 경도론’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중국 언론은 한·중 정상회담을 주요 뉴스로 다루며 박 대통령에게 각별한 관심을 보였다.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망은 박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중국이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건설적 역할을 한 것에 대해 감사를 표했다고 별도 제목으로 보도했으며, 공산당 중앙정법위원회 기관지 법제일보는 박 대통령의 방중과 열병식 참석이 한·중 관계의 새로운 장을 열게 됐다고 큰 의미를 부여했다.
중국 네티즌들도 박 대통령을 ‘퍄오제’(朴姐·박근혜 누님)로 지칭하며 환영 의사를 나타내기도 했다. ‘퍄오제’는 시 주석의 애칭인 ‘시다다’(習大大·시진핑 아저씨)에 빗댄 표현이다.
이종선 기자,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remember@kmib.co.kr
[한·중 정상회담] “韓, 中 향한 접근 선명해진 모양새” 교도통신 등 日 언론, 경계심 노출
입력 2015-09-03 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