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한반도 긴장 고조 행동 반대한다”… 박근혜·시진핑 정상회담

입력 2015-09-03 03:38
박근혜 대통령이 2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한·중 정상회담을 마친 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마련한 ‘양국 정상 특별오찬’에서 시 주석과 대화하고 있다. 시 주석은 전승절 참석차 베이징에 온 30개국 정상 가운데 유일하게 박 대통령만 초청해 단독 오찬을 했다. 베이징=서영희 기자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2일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긴장을 고조시키는 어떠한 행동에도 반대한다”고 천명했다. 최근 벌어진 남북 간 군사적 위기상황은 물론 북한의 핵실험 및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 도발 움직임에 대해 한·중 양국 정상이 강력 경고한 것이다. 두 정상은 또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견지하면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이 조속히 재개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은 아울러 10월 말 또는 11월 초를 포함한 상호 편리한 시기에 한국에서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중국을 방문 중인 박 대통령은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한·중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한반도 정세, 한·중·일 3국 협력 등 동북아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했다.

두 정상은 우선 북한 등 한반도 문제에 대해 “2005년 북핵 9·19공동성명 및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관련 결의들이 충실히 이행돼야 한다”며 “(한반도에서) 긴장을 고조시키는 어떠한 행동에도 반대한다”고 밝혔다. 두 정상은 또 8·25 남북 고위급 접촉 합의와 관련해 “최근 한반도에서 조성됐던 긴장 상태가 남북 협의를 통해 완화된 것을 평가한다”며 “이번 합의가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행돼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가속화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통일 방안과 관련해 시 주석에게 “한반도가 분단 70년을 맞아 조속히 평화롭게 통일되는 것이 지역 평화와 번영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 주석은 “한반도가 장래에 한민족에 의해 평화적으로 통일되는 것을 지지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두 정상은 한·중·일 3국 협력체제가 동북아 지역의 평화·안정과 번영을 위한 중요한 협력의 틀로서 계속 유지·발전돼야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한·중·일 3국 정상회의는 서울 또는 제주도에서 열리며, 회의 기간 한·일 정상회담 개최도 본격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은 특히 박 대통령에게 “3국 정상회의 의장으로서 3국 협력 정상화를 위해 적극 노력해오셨다”며 사의를 표명했다. 두 정상은 이와 함께 한·중 양자 관계가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이어 한·중 인문유대 강화사업 확대, 문화 콘텐츠 공동 개발 등을 위해 노력키로 했다.

박 대통령은 정상회담 직후 시 주석과 특별 양자 오찬도 가졌다. 시 주석은 전승절 기념행사 참석차 베이징을 방문한 30개국 정상 가운데 유일하게 박 대통령과만 단독 오찬을 하는 등 각별한 예우를 갖췄다. 박 대통령은 오후에는 중국 권력서열 2위인 리커창(李克强) 총리와 면담을 갖고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연내 발효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또 양국 간 경제 협력을 보건·의료 등 신산업 분야도로 확대하자는 데에도 의견을 모았다. 박 대통령은 3일 오전 베이징 천안문 성루에서 시 주석 등과 나란히 앉아 전승절 기념행사를 참관한다.



베이징=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