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용인시와 평택시가 송탄상수원 규제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용인시는 송탄상수원 규제가 기업유치에 걸림돌이 된다며 규제 철폐를 주장하는 반면 평택시는 수질이 오염될 수 있다며 규제 존치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경기도 용인시는 “지역주민의 인내가 한계점에 달했다”며 송탄상수원의 규제가 철폐될 때까지 계속 투쟁을 벌이겠다고 2일 밝혔다.
이한성 송탄상수원 보호구역 해제대책위원회 위원장은 “피해가 너무 크다. 지난 36년 동안 참을 만큼 참았다. 변변한 공장 하나 없는데 공장을 지으려면 평택시장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용인시는 지난 31일 정찬민 시장까지 머리띠를 두르고 시민 1000여명과 평택시청 앞 광장에서 시위를 벌인 데 이어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며 강경한 입장이다.
용인시 관계자는 “빠르게 발전하며 100만 인구를 목전에 둔 용인시에서 남사·이동면만 1970년대 모습으로 정체돼 있다”며 “1979년 이들 지역이 송탄상수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36년 간 산업단지 단 한 곳을 유치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반면 평택시는 송탄정수장 인근 진위면 일대에서만 3곳의 산업단지가 추진되고 있다.
또 국내 최대 규모의 삼성전자산업단지도 용인시가 유치를 위해 발 벗고 나섰으나 상수원 보호구역 때문에 평택시에 내어줬다고 용인시는 주장했다.
현재 보호구역 지정으로 발목이 잡혀있는 남사·이동면 지역 면적은 총 63.72㎢이다. 이는 용인시 전체면적(591.32㎢)의 약 10%로 여의도 면적의 22배에 달한다.
용인시는 이들 지역의 보호구역 해제를 위해 여러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우선 평택시를 위한 송탄상수원보호구역과 송전선로 등으로 피해를 보는 용인시의 현실을 다각도로 알리기 위해 시민 서명운동, 평택시청 앞 1인 릴레이 시위, 경기도와 국회 항의시위를 계획하고 있다.
하지만 평택시는 송탄상수원인 진위천의 수질 유지를 위해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는 절대 있을 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양측의 갈등이 쉽게 해소되긴 어려울 전망이다.
용인=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용인에 공장 짓는데 왜 평택 승인 받아야 하나”… 송탄상수원 보호구역 반발 격화
입력 2015-09-03 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