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고가 공원화사업인 ‘서울역 7017 프로젝트’를 놓고 서울시와 서울경찰청이 정면 충돌했다.
서울시가 요구한 서울역 주변 교통안전시설 심의를 서울경찰청이 지난달 27일 두 번째 보류하자 서울시가 강하게 유감을 표명하고 나섰다. 시는 심의결정이 지연될 경우 11월 서울역고가 차량 통행 금지를 강행하겠다고 경찰을 압박했다.
두 기관의 힘겨루기가 계속될 경우 교통흐름개선 대책을 시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울역고가 차량통행이 차단돼 서울역 주변 교통이 마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제원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2일 긴급기자회견을 열어 “우리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서울경찰청과 수십 차례 실무적 협의와 의견교환을 거쳐 성실하게 경찰청의 보완의견을 수용해 왔음에도 연 이은 교통안전심의 보류 결정으로 정상적 사업 추진에 막대한 지장을 빚고 있어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 부시장은 “2012년 정밀진단에서는 교량의 잔존수명이 불과 2∼3년에 불과하다는 평가를 받아 금년말까지는 시민안전을 위해 반드시 철거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1970년 완공 후 45년간 사용돼온 서울역 고가는 2006년과 2012년 두차례의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 판정을 받아 긴급 보수·보강을 하거나 차량 통제가 필요한 상황이다.
서울시는 서울경찰청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이달 교통개선심의 재상정을 추진하되 결정이 계속 지연될 경우 오는 11월부터 직권으로 서울역 고가의 차량통행 금지를 시행할 방침이다. 특히 서울시는 경찰의 잇따른 심의보류 결정에 ‘정치적인 함의’가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에 따라 야권의 유력한 대권주자인 박원순 서울시장의 역점사업인 ‘서울역 7017 프로젝트’가 9월 국정감사에서 여야간 쟁점으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인철 서울시 대변인은 “서울경찰청이 정치적인 함의를 갖고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경찰의 독자적인 판단이 아니라 청와대와 새누리당 등 여권이 박 시장을 견제하기 위해 서울역고가 공원화사업에 제동을 걸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정치적이라는 것은 서울시의 해석일 뿐 위원회는 교통대책이 미흡했다고 본 것”이라며 “9월에 보완해서 다시 가져오면 재심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과거 청계천 복원 사업 당시 참여정부가 적극적으로 복원 사업을 지원했으며 이것이 중앙과 지방의 건전한 상생협력 관계”라며 서울경찰청에 협조를 촉구했다.
앞서 문화재청 소속 문화재위원회도 지난달 초 서울시가 제출한 (구)서울역사 주변 고가도로 보수보강 및 광장 시설물 설치 현상 변경 신청안을 부결시켰다.
김재중 선정수 기자 jjkim@kmib.co.kr
서울시-경찰 ‘서울역고가’ 정면충돌… 주변 교통 마비 우려
입력 2015-09-03 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