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2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개혁적 보수의 길을 걷겠다”면서 ‘신(新)보수주의’의 깃발을 내걸었다. 집권여당 수장으로서 박근혜정부의 4대 개혁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하면서 당청이 한목소리로 보조를 맞추는 모습을 보였다. 자신의 정치적 소신인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등 정치개혁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김 대표는 취임 후 세 번째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포용적 보수’ ‘서민적 보수’ ‘도덕적 보수’ ‘책임지는 보수’를 당의 정치적 지향점으로 제시했다. 특히 김 대표가 “대한민국이 반드시 가야 할 ‘새로운 길’”을 언급하면서 당의 이념 노선뿐 아니라 차기 대권주자로서의 정책 구상까지 연설문에 담아냈다는 평가가 나왔다.
눈에 띄는 점은 재벌개혁의 필요성을 처음 언급한 점이다. 이는 노동계 및 야권의 반발을 사는 노동개혁의 동력을 확보하고 당의 외연을 넓히려는 포석으로 해석됐다. 김 대표는 연설 이후 기자들과 만나 “재벌은 명과 암이 있다”면서 경제 성장에 기여한 재벌 기업의 공(功)을 인정해야 하지만 ‘경영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김 대표는 자신의 ‘정치적 트레이드마크’처럼 밀어붙이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도 방점을 찍었다. 이에 부정적인 야당을 상대로 압박 수위를 높인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과거 총선 및 대선에서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겠다고 공언했고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방안을 담은 새정치연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에 공동발의자로 참여한 사실도 거론했다.
김 대표는 차기 여권의 대선주자로서 통일·외교·안보 분야 정책의 밑그림을 제시하기도 했다. “통일 재원을 마련할 방법을 공론화해야 할 때”라고 제안했고 “안보의 벽은 높게, 대화의 벽은 낮게”라는 ‘대북 원칙’을 밝혔다. 외교 전략에 대해선 “국제적인 안목을 갖고 엄중한 동북아 정세 속에서 당당히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힘을 키워야 한다”면서 “주변국과의 외교를 통해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한 주도적인 조정자 역할을 해야 한다”고 했다.
야당은 김 대표의 연설을 혹평했다. 새정치연합 문 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여러 대목에서 극우적이고 수구적인 인식을 보여줬다”며 “참 걱정스럽다”고 맹비난했다. “새누리당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연설과는 너무 대조되는 정반대 연설”이라고도 했다.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위한 김 대표의 회담 제안에 대해선 환영한다면서도 권역별 비례대표제 등으로 회담 의제를 넓혀야 응할 의사가 있다고 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김무성 “개혁적 보수의 길을 걷겠다”
입력 2015-09-03 0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