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출액이 세계적인 교역 부진과 유가 하락 등 영향으로 6년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월 수출액이 393억3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7% 줄어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월간 수출액 감소율로는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직후인 2009년 8월(-20.9%) 이후 6년 만에 최대 폭으로 떨어졌다. 수출액은 올 들어 1월 0.9%, 2월 3.3%, 3월 4.3%, 4월 8.0% 각각 줄어들었고 5월 들어서는 두 자릿수인 10.9%로 뚝 떨어졌다. 6월 -1.8%, 7월 -3.3%로 감소 폭이 다소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8월 들어 크게 확대됐다.
8월 수입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3% 줄어든 349억8000만 달러였다. 수입액 감소폭도 전달(-15.3%)보다 더 커졌다. 수출입액은 올 들어 8개월 연속 동반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8월 수출 물량은 3.8% 늘었다. 유가 하락, 공급 과잉 등으로 수출 단가는 18.0% 감소했지만 수출 물량은 7월 7.9%에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품목별 수출액 동향을 보면 소폭 증가하던 유가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서며 석유제품과 석유화학의 감소폭이 각각 40.3%, 25.7%로 확대됐다.
특히 선박은 해양플랜트 부문에서 11억 달러 규모의 인도 연기가 발생하면서 감소폭이 51.5%나 됐다. 반면 주력 품목인 무선통신기기는 갤럭시노트5 등이 출시되면서 19.0% 늘었고 반도체는 시스템반도체의 호조가 이어지면서 4.7% 증가했다. 지역적으로는 중국(-8.8%)과 일본(-24.4%) 수출 감소폭이 확대됐다. 중국 제조업 경기는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의 8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7로 집계됐다. 시장 전망치인 49.7에 부합했지만 전월(50.0)보다 낮은 수치로 2012년 8월(49.2) 이후 3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PMI는 50을 기준으로 이를 상회하면 경기 확장, 못 미치면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세종=이성규 기자 베이징=맹경환 특파원zhibago@kmib.co.kr
8월 수출액 -14.7%… 6년 만에 최대폭 감소
입력 2015-09-02 02:36 수정 2015-09-02 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