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비리’ 정준양 9월 3일 소환

입력 2015-09-02 02:24

포스코 비리의 정점으로 지목받은 정준양(67·사진) 전 포스코그룹 회장이 3일 검찰에 출석한다. 지난 3월 포스코건설 압수수색을 시작으로 검찰이 수사에 착수한 지 6개월 만이다. 포스코는 2000년 9월 민영화 이후 3명의 회장이 모두 검찰 조사를 받게 됐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부장검사 조상준)는 정 전 회장을 3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할 방침이라고 1일 밝혔다. 정 전 회장은 취임 이후 수십 건의 인수·합병(M&A)을 진행하면서 그룹에 수조원대 손실을 끼친 혐의를 받고 있다. 성진지오텍(현 포스코플랜텍) 인수는 대표적 부실인수로 꼽힌다. 포스코는 2010년 3월 시세보다 비싼 가격에 주식을 사들였다. 전정도(56·구속 기소) 전 성진지오텍 회장에게 큰 이익을 안긴 인수 과정에 정 전 회장이 직접 개입한 사실이 확인됐다.

검찰은 정 전 회장이 동양종합건설 측에 포스코건설의 인도·베트남 등 해외사업 하도급을 몰아줬다는 의혹도 추궁할 방침이다. 검찰은 “정 전 회장의 직접 지시가 있었다”는 취지의 포스코 임원 진술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정 전 회장이 배성로(60) 전 동양종건 회장과의 관계를 중시해 영향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그간 재계에서는 정동화(64)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의 두 차례 구속영장 기각 등을 근거로 ‘무리한 수사’라는 볼멘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경영진에 포스코 부실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는 여론도 여전하다. 포스코는 정 전 회장 재임 기간에 국제신용등급이 하락했다. 현금성 자산은 줄고, 부채비율은 높아졌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