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를 이끄는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오랜만에 만났다. 최 부총리 취임 직후인 지난해 7월 21일 이후 1년1개월여 만이다.
최 부총리와 이 총재는 28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관 뱅커스클럽에서 국장급 이상 간부들이 10명씩 배석한 가운데 만찬모임을 가졌다. 이날 만남은 최 부총리 측이 이달 초 제안했다.
최 부총리는 자리에 앉자마자 “밥값은 누가 내나? 재정 상황이 나은지 통화사정이 나은지”라며 가벼운 얘기로 어색한 분위기를 풀었다. 지난해 9월 호주 케언스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회의 때 와인 회동에 이어 이날 만찬에도 반주로 와인이 올라왔다.
최 부총리는 “다른 나라는 재무장관과 중앙은행 총재가 만나는 게 뉴스거리가 아닌데 우리도 뉴스거리가 안 되게 만들어 보자”고 농을 던져 좌중을 웃겼다. 그러나 모두발언에서 기자들이 지켜볼 당시 두 수장은 최근 경제 현안을 두고 극도로 말을 아끼는 모습이 역력했다. 한은과 기재부는 “양 기관 간부들 간 친목을 다지기 위해 마련된 자리”라고 밝혔다. 하지만 글로벌 경제위기에 가계부채 등 경제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두 수장이 최근 경제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을 것이란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그동안 두 사람은 기준금리 인하를 놓고 이른바 찰떡궁합 정책 공조를 펼쳐왔다. 특히 두 수장이 만난 직후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전례가 있어 이번 만남도 ‘금리 조정 신호’로 보는 시각이 많다. 1년 전 최 부총리가 한은 총재와의 만남에서 금리인하 조율 여부를 묻는 기자의 질문에 ‘척하면 척’이라고 발언했다가 논란이 일었다.
현재 분위기로는 최 부총리가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 인하를 이 총재에게 요청하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이 금리 인상을 앞두고 있는 데다 1100조원대를 넘어선 가계부채 때문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기준금리를 더 낮추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대신 현 경제 상황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협조 메시지를 전했을 가능성이 높다. 중기 물가안정목표제를 비롯한 현안들도 논의 대상이 됐을 것으로 보인다. 두 기관은 3년 전 설정된 중기 물가안정 목표가 최근의 저성장과 저물가 현상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따라 물가안정 목표를 2%대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1년여만에 만난 최경환·이주열… 이번에도 ‘척하면 척’ 찰떡 공조?
입력 2015-08-29 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