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에 두 번째 케이블카가 들어선다. 환경 파괴와 안전성·경제성 논란 등으로 진통을 겪었지만 결국 추진키로 했다. 박근혜정부의 ‘산지관광 활성화’에 탄력이 붙으면서 전국 명산(名山)에 케이블카 열풍이 불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야당 의원과 환경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어 ‘환경 대 개발’ 논란이 거세질 전망이다.
환경부는 28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제113차 국립공원위원회를 열고 ‘설악산국립공원 오색케이블카 설치 공원계획 변경안’을 조건부로 승인했다. 위원 20명 중 표결에 17명이 참여했다. 조건부 가결 12명, 유보 4명, 기권 1명이었다. 당초 오후 2시30분쯤 회의를 종료할 예정이었으나 격론이 오가며 오후 7시 이후에야 결론이 났다. 국립공원위는 환경부 차관이 위원장을 맡고 정부 대표와 시민 대표가 10명씩 참여한다.
위원회가 제시한 조건은 7개다. △탐방로 회피 대책 강화 △산양 문제 추가 조사 및 멸종위기종 보호 대책 수립 △시설 안전 대책 보완 △사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마련 △양양군-공원관리청의 케이블카 공동 관리 △운영 수익의 15% 혹은 매출액의 5%로 설악산환경보전기금 조성 △상부정류장 주변 식물보호 대책 등이다.
오색케이블카는 남설악 오색에서 끝청봉 하단까지 3.5㎞ 구간이며 평창동계올림픽 전인 2017년 완공될 예정이다. 권금성 구간(소공원∼권금성 전망대·1128m)에 이어 설악산에 들어서는 두 번째 케이블카다. 강원도의 숙원사업으로 2012·2013년 두 차례 환경부의 반대로 고배를 마셨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설악산 오색지구서도 케이블카 타고 오른다
입력 2015-08-29 02:27